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명의 까다로운 조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산소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생명체의 기반이 되는 원소로 별 안에서 핵융합으로 만들어진다. 딘 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교수팀은 두 원소가 만들어지는 조건을 조사한 결과 조건이 지금과 조금만 달라져도 두 원소가 충분히 생기기 어렵다고 발표했다.탄소는 별 안에서 헬륨 세 개가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않았다. 또 이번 발표가 아직 모두를 속 시원하게 해 주지 못했다는 점도 이유다. 아직 모든 성질이 밝혀진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성질을 알아냈지만 이 외에도 밝혀내야 할 성질은 많다. 이런 특성에 따라서 표준모형의 힉스가 아닌, 다른 물리학 모형의 입자(예를 들어 초대칭모형에는 힉스가 여러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동물이었던 거예요.김 박사는 붉은박쥐뿐 아니라 온대지역에서 동면을 하는 당신의 모든 친구들이 이런 법칙을 만족한다고 보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가 완료되면, 당신의 분포와 동면 온도, 시기를 통해 기후변화를 추적할 수 있게 됩니다. 다른 어떤 동물보다 예민하고 정확한 온도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구글 어스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이다. ‘구글 잇!’ 구글에 가면 모든 정보가 있다는, 은유적인 표현이다. 구글의 데이터 과학은 이제 ‘사람들이 딱 원하는 만큼, 딱 원하는 정보를, 장애인도 불편함 없이, 컴퓨터·휴대전화·안경·자동차·신발 등 다양한 도구로, 심지어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같이 퍼뜨렸을까. 고위도 지방에 살던 순록도 촌충의 매개체 역할을 했을까.이 모든 수수께끼를 풀 열쇠는 기생충이 갖고 있다. 보이지도 않고 말도 없는 생물, 징그럽고 없애야만 한다고 생각했던 이 생물이, 지난한 진화 역사의 한 단면을 환하게 밝혀줄 것이다 ... ...
- [현장취재] 온가족이 즐거운 수학체험관 궁리마루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개념, 그리고 예술 속 수학과 미분과 적분을 체험하는 전시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모든 전시물을 생활 속에서 찾을 수 있는 물건으로 구성해 관람객이 친근하게 느끼도록 했다.각 전시관에서는 해설사의 안내에 따라 20분 동안 체험을 하게 된다. 가 방문한 날은 특별히 궁리마루에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논문에는 엄밀한 증명이 등장하지 않으며, 정확한 정의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거의 모든 절에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있다." _장 디외도네(프랑스의 수학자)20세기 최고의 난제, 푸앵카레 추측푸앵카레는 ‘대수적 위상수학(algebraic topology)’이라는 수학분야를 창시해 연구하면서, 20세기 내내 ...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통신 기술로, 노랫말처럼 상상했던 일이 현실로 이뤄지고 모든 것이 연결되는 시대가 됐다. 이렇게 발전하는 첨단 통신망을 연구하는 수학자가 있다. 바로 카이스트 수학과 황강욱 교수님이다. 차세대 통신망 연구에 수학이 어떻게 쓰이는 걸까?줄 서기로 최첨단 통신망을 ...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그는 현재 북 아트 교육에 힘쓰고 있다. 화려한 색감과 함께 종이를 겹쳐서 접어 360° 모든 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환상적인 공작의 자태독일의 페이퍼 아티스트 페터 다멘의 작품이다.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진 공작의 날개가 완벽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응용과학을 전공한 그의 작품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도형의 작은 부분은 원래 도형을 정확히 닮았다. 게다가 파이겐바움 도형에 나타나는 모든 가지들의 끝은 칸토어 집합을 형성한다. 칸토어 집합은 1883년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그 칸토어의 이름을 딴 프랙탈 구조로, 각 직선의 가운데 $ \frac{1}{3} $을 없애는 방식을 무한히 반복하면 만들어진다. ... ...
이전4154164174184194204214224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