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수중에서 감쇄현상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따라서 잠수정과 선박의 통신, 잠수정의 위치
측정
및 장애물탐지에는 물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이용한 음파이용이 유일한 방법이다. 수중음파의 진행속도는 매초 1.5km정도로 전파에 비해 느리며 바닷물의 밀도가 불균일하므로 음파는 수신해역에 따라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쓰이고 있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블랙박스로 불리게 된 문제의 품질
측정
시스템은 89년 5월부터 서울시내 각 전화국에 은밀히 설치됐다가 90년 국정감사 직전에 일제히 수거됐다 국회는 X-프로젝트로 불리는 이 시스템개발사업에 참여한 과학자들의 증인심문까지 벌이며 도청여부를 확인하려 ... ...
해수온도 변화가 남극 오존구멍의 원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하강했는데 몇년전부터 남극오존층이 감소하다가 88년 10월 오존분포가 비교적 높게
측정
사실이 밝혀졌다.컴힐은 이러한 상관관계에 몇가지 가설을 제시했다. 적도의 수온은 대기압력계에 몇가지 바람을 일으킨다. 고온의 해수는 대류작용이 강하고 2년 주기의 편동풍을 동요시킨다. 이 바람은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행할 수 있는 위치는 매우 한정돼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진계로 정밀하게 지진파를
측정
하면 인공지진의 지진파는 자연지진에 비해 진폭이 초기에만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 핵폭발에 따른 지진파의 진동수가 인공폭발시의 진동수보다 훨씬 많다. 따라서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그리고 핵폭발과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 크기와 모양만 하게 되는데 가능하다면 눈금이 있는 접안경을 사용하면 크기를
측정
하기 쉽다. 동일 광학계로 촬영한 사진은 필름상에서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목성과 토성은 대류권에 따른 대기의 변화가 복잡하고 위성과 띠 등 관측할 것이 많아 초심자에게도 경험자에게도 좋은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해서는 인간생체 감각기능과 주위환경 및 생활제품과의 관련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
하고 연구하는 감성공학기술이 새로운 과학기술 연구분야가 될 것이다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변화하기 때문에, 자장 세기를 위치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일정한 경사를 주어서 걸면
측정
되는 전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그 발생위치를 알 수 있으며 그 주파수 성분 크기로 그 위치에서의 수소원자 농도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이 과정에서도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에서 사용했던 컴퓨터를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으며 적용 범위가 점차로 확장되고 있다.홀로그래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의 강도
측정
에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항공기 자동차 잠수함 등의 내부손상을 쪽집게처럼 집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응용이 가능한 것은 홀로그래피에서 간섭계(interferometry)라는 이론을 적용시켜서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안에서 계속 빛을 사방으로 쏜다. 바로 이 빛을 통해 건물이 받는 외압과 스트레스 등이
측정
되는데 그 오차는 무시할 정도로 적다고 한다.물론 가급적 많은 센서를 투입해야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허스턴은 힘을 계속 받는 곳 두 부위에 하나꼴로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해 60년대말 '액정그룹'을 구성해 활동하기도 했다.유기화학물질의 입체구조를
측정
하는 핵자기공명분광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화학상을 받게된 리하르트 에른스트 박사(58)는 스위스인으로는 다섯번째 노벨상 수상자가 된다. 그가 이론적 기초를 닦은 핵자기공명분석법이란 관찰하려는 대상에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