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침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장 가까운 육지에서 460km, 사람이 사는 기지에서는 800km 이상 떨어진 곳이었다. 9월이 되자 불길해 보이는 자연 현상이 일어났다. 차가운 대기에 굴절한 부빙의 신기루가 하늘에 떠올랐다. 펭귄과 물개는 주변에서 멀리 떨어져 개들을 먹일 고기가 부족해졌다.9월 말, 배를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어질 위험이 있다. 다이어트를 하다가 음식 섭취와 관련된 뇌 보상 시스템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음식섭취 행위는 소화기관과 중추신경이 정교하게 연결된 복합적인 과정이다. 렙틴이나 그렐린과 같은 식욕 조절 호르몬이 포만감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한편, 음식 섭취를 쾌감으로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크기가 되는 순간 외부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마치 임계 크기에서 잘려나가듯이 별이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되는 겁니다.” ┗ 그 논문이 그리는 것이 바로 블랙홀이군요. 그리고는 연구가 중단되었지요.“잘 아시다시피…. 그 논문이 학술지에 실린 날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공했어요. 그리고 맨해튼 ... ...
- [과학뉴스] 혜성 탐사선 ‘로제타’ 2014년 연구 성과 1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결과, 조류의 모태가 되는 공룡 계통의 몸집이 점점 작고 가벼워져 간다는 것이다. 두 대 이상 작은 로봇이 협력해 공동 임무를 수행하는 ‘군집로봇(스웜봇·SwarmBot)’도 주요 연구 성과로 소개됐다. 각 로봇에는 무선수신기와 센서가 내장돼 있어 다른 로봇과 함께 도형이나 글자 등을 만들 수 있다 ... ...
- [과학뉴스] 긴 말은 않겠다. 그 땅콩. (사실은 마카다미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75%가 순수 지방으로, ‘겨우’ 48%에 머무르는 땅콩보다 훨씬 기름지다. 칼로리도 25% 이상 높다. 땅콩보다 보편적이지 않아 값도 비싸다. 이코노미석에서는 안 준다 ...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끓던 원시지구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나기 힘들었다. 원시지구의 맨틀은 지금보다 200°C 이상 더 뜨거웠다. 지금보다 훨씬 많은 광물이 마그마 상태로 녹아 있었다. 액체가 된 광물 중 가벼운 물질은 부력이 커 잘 뜨기 때문에 땅 위로 쉽게 빠져 나갔다. 뜨지 않고 남은 물질이 지각하부에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같은 지의류라도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성장 패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수십 년 이상 숙련된 분류학자가 아니면 다른 종으로 잘못 구분하기 딱 좋다”고 말했다.지의류는 지구의 거의 모든 지역에 살고 있다. 극지에서도 살고 고산지역에서도 산다. 온도가 맞지 않거나 건조한 환경에서 ... ...
- [Fun] 당신이 필요하다, 몹시 절박하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문제를 찾아내고 발견을 해내는가에 대해 윌슨은 “모든 문제는 그 답을 알아내기에 이상적인 종이 있고, 거꾸로 모든 종에는 중요한 문제가 반드시 있다”며 “연체동물 일종인 군소류 아플리시아는 세포 차원에서 기억을 탐구하기에 알맞은 종으로 밝혀졌고, 박쥐를 연구하면 음파 탐지 능력을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에너지는 더 이상 꿈이 아닙니다. 우리가 획기적인 신재생 에너지를 개발하지 않는 이상 핵융합 에너지는 인류의 마지막 미래가 될 것입니다.Q 졸업한 선배들의 진로는.여태까지는 굉장히 한정적이었습니다. 대학원, 연구소, 산업체,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력 기술 개발을 했습니다. 요즘 떠오르고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힌트를 얻습니다. 오일러는 과감하게 복소수를 지수함수에 넣어봅니다. 지금이야 아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을 행동이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복소수를 지수로 갖는 함수는 없다는게 상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오일러는 과감히 도전했고 성공했습니다. 이 성공에 힘입어 인류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 ...
이전4144154164174184194204214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