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 콜로이드 입자의 전하와 힘의 관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화학I의 물 파트에서는 응집 현상을 이용한 물의 정화 과정을 배운다. 이번 호에서는 응집현상을 일으키는 입자가 어떤 것인지를
보고
입자간 힘의 관계를 해석해본다.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한다. 심리학자들은 상대방의 마음을 파악하려면 눈동자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눈빛을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해독하라고 조언한다. 사람의 표정만큼 ... 것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꽃을 바라봐도 인간과 벌은 서로 다른 영상을
보고
있는 것이다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부분일 뿐, 토네이도 위에는 그보다 더 크고 강력한 슈퍼셀이 꿈틀거리고 있다. 지금
보고
있는 저 토네이도는 곧 소멸하고 말겠지만, 몇 시간 뒤에, 아니 몇 분 뒤에 더 엄청나고 무시무시한 토네이도가 나타날지도 모른다. 하나의 슈퍼셀에서 여러 개의 토네이도가 한꺼번에 나타날 수도 있다고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는 이유에서 경쟁사의 전 임원이었던 김 씨를 주목했다. 경찰은 김 씨를 사주범으로
보고
지난해 10월 폭력행위(상습공갈) 및 정보통신망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체포했다. 하지만 공격범이 단독범행을 주장하고 있고, 사주범 김 씨가 체포 당시 경쟁사의 임원 신분이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규모의 집중호우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km 해상도의 수치예보모델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신·구 지역예보모델의 영역과 해상도의 차이해상도가 12km인 기존 모델(왼쪽)은 격자의 크기가 커서 지표 특성을 매우 성글게 표현했다. 하지만 해상도를 1.5km까지 끌어올린 새 모델은 격자 크기가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고 있다는 뜻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약 20%의 사람들이 교대근무를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대부분의 교대근무는 24시간 운영을 위해 있기 때문에 밤샘근무가 포함돼 있다. 따라서 교대근무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불규칙적인 시간대가 불러일으키는 ‘하루주기리듬’의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측정하고 있소이다.”측우기를 발명하기 전에는 땅을 파서 흙이 젖어 있는 깊이를
보고
비가 온 양을 측정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아서 문제였다.“비를 받는 통을 구리나 철로 만들어서 재면 되는 것 아니요?”고르리 박사는 그만 측우기 발명에 대해 말을 꺼내고 말았다. 그 때였다. 악당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운전자와 본인에게도 매우 위험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바람의 힘을 경험해
보고
싶다면 한적한 도로에서 실험할 것을 당부합니다.*방향타비행기 수직꼬리날개 뒷부분에 부착돼 좌우로 움직이며 비행기 몸체를 좌우로 조종하는 보조날개다. 방향키라고도 한다.*승강타수평꼬리날개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보는 것도 수학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추천해 주셨어요. 다음 예시를
보고
,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도 나만의 수학문제를 만들어 보세요!예시변하는 두 양 x와 y에 대한 관계식이 일차함수 y=x+3과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만들어보자.풀이문제응애응애~. 한적한 시골 별빛산부인과에서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 [미라는 수백, 수천 년 전 조상들의 생활양식과 질병정보를 담은 과학기술 연구의 ‘
보고
’다. 고려대 연구팀은 국내 최고(最古) 미라로 꼽히는 학봉장군 미라를 연구해 조선 전기에는 애기부들 꽃가루를 각혈 약으로사용했으며, 당시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식생활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