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확인한다. 사용자가 어느 지역에 자주 있는지, 어디로 자주 가는지 등도 알 수 있다.
눈
뜨고 있는데도 코 베어가는 셈이다. 어쩌면 연인이 있는데 다른 이성 친구와 몰래 데이트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지도 모른다. 언제, 어디서, 누구를 만나 무슨 대화를 했는지 악성코드만으로 파악할 수도 있기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물론 암흑영역의 입자에게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렇다면 혹시 암흑광자도
눈
에 보이는 일반물질에는 영향을 못 미치는 대신 자신이 속한 암흑영역에서 ‘어떠한 힘’을 전달하지 않을까. 만일 그렇다면 그 힘은 혹시 ‘암흑전자기력’이 아닐까.더 알아보기 전에 먼저 고민해야 할 중요한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302개에 불과했지만 각 신경세포들의 연결쌍은 7000개가 넘었다. 연구팀은 이를 일일이
눈
으로 확인해 이름을 붙였고 20년 만에 작은 선충의 완전한 ‘커넥톰(뇌신경 연결 지도)’을 만들었다.[인간의 뇌를 52개 영역으로 구분한 브로드만 지도. 각 영역은 세포 구조가 서로 다르다.]사람의 뇌에는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조언했다. “문학책, 소설책을 읽는 것도 물론 중요하단다. 하지만 세상을 보는
눈
이 있어야 해. 좀더 빠른 시간에 세상 돌아가는 걸 알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영상독서’야. 다큐멘터리나 좋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는 것도 영상독서지. 개그프로그램을 보고 ‘저 개그코너는 요즘 세상의 무엇을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것이기에 물 속에서
눈
을 뜨고 본다면 원시에 가까운 상을 볼 것이다. 실제로 물 속에서
눈
을 뜨고 물체를 본 경험이 남아 있다면 이를 연결시켜서 설명할 수도 있겠다.이어지는 2-3)번 문제나 2-4)번 문제는 농도에 대한 이해와 함께 더 밀한 매체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포인트다. 분자 ... ...
춘곤증 극복~! 봄나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런데 요즘 온몸이 나른하고 피곤하지 않니?어, 거기 꾸벅꾸벅 졸고 있는 친구, 잠깐
눈
을 떠 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친구들의 잠을 깨워 줄 특효약을 준비했으니까. 바로 파릇파릇 싱싱한 봄나물이야.킁킁~. 어디선가 향긋한 냄새가 나지 않니? 먹으면 힘이 불끈! 춘곤증 해결사봄엔 자주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피타와 함께 사라지는 동시에 빛도 꺼지고 말았다.“팟!”시끄러운 소리에 폴이
눈
을 떴다.“응? 여긴?”그 곳은 교실이었다. 자습시간인지 다들 공부를 하고 있었고, 폴은 교실 뒤쪽에 혼자 앉아 있었다.“우앗! 우리 학교잖아? 다시 돌아온 건가?”흥분한 폴이 소리를 지르자 공부를 하던 학생들이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말 중 제임스튜링 씨가 가장 좋아한다는 말로 만남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우리는
눈
앞의 아주 가까운 곳까지밖에 보지 못한다.”튜링 “그러나 그 안에서도 우리는 해야 할 일을 풍성하게 찾을 수 있다.” 감사합니다. [지난 5월 10일 스코틀랜드에딘버러대에서 열린 앨런 튜링 탄생100주년 강연회.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끝이 빨갛고 파란 작은 막대 자석을 가지고 놀았던 기억을 떠올려 보자. 철가루를 뿌려서
눈
에 보이지 않는 자기장을 확인할 때의 신비로움이 기억난다. 나침반을 보면서 지구가 거대한 자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의 놀라움도 빼놓을 수 없다. 그런데 그런 거대한 자석의 ‘힘’이 사실은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포도당은 식물의 각 기관으로 운반돼 녹말로 저장되기도 하고 에너지를 내는 데 쓰인다.
눈
에 보이지 않는 기체로부터 우리가 매일 먹는 맛있는 밥을 만들어 주니 이만하면 최고의 자연 요리사라고 할 수 있겠다. [ 광합성 전체과정]광합성 연구의 역사 식물이 포도당을 생산한다는 생각은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