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스페셜
"
과학
"(으)로 총 8,12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2020.09.12
히든 크레바스는 절벽 위로 눈이 덮여 있어 맨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사진은 갑자기 절벽 아래로 눈이 떨어지며 모습이 드러난 히든 크레바스다. 극지연구소 극지기술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PART 4. [남극] 남극 대륙 365일 밤낮으로 살핀다 PEOPLE. 나는 극지
과학
자입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 남반구를 수놓는 마젤란은하의 수수께끼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2
네이처 제공. 마젤란운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은하다. 마젤란은하로 알려진 마젤란운은 대마젤란운과 소마젤란운이라는 2개의 은하계로 구성된다. 우리은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는 이유로 위성은하로도 불린다. 남반구 밤하늘에서 장관을 이루는 마젤란운은 ‘마젤란 계류 ... ...
올해 잦은 대형 태풍, 태평양 수온 상승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평균 표층수온 온도가 30도로 2018과 2019년에 비해 1도가량 높게 나타났다. 한국해양
과학
기술원 제공 2018년과 지난해 가장 강력한 태풍이었던 망쿳과 하기비스가 발생했을 때도 이 해역에서 고수온 현상이 나타났다. 하이선 역시 이 영향을 받으며 대형태풍으로 세력이 확장됐다. 연구팀은 “태풍 ... ...
러시아 포함 전세계
과학
자 27명 "러시아 백신 불완전하고 비현실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북미
과학
자와 일본과 태국 등 아시아
과학
자도 일부 포함돼 있다. 러시아 카잔대 소속
과학
자도 포함됐다. 랜싯 측은 러시아 연구팀에 이 공개 서한에 대한 답을 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 ...
"달 토양샘플 사겠다" NASA 속내는 '우주자원 소유권' 선례
연합뉴스
l
2020.09.11
민간 참여를 독려하는 것을 넘어 진짜 목적이 무엇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술·
과학
전문매체 '버지'(The Verge)와 외신 등에 따르면 NASA가 제시한 금액은 1만5천~2만5천달러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입찰에 참여한 기업에 선수금 조로 20%를 주고 나머지는 토양 샘플을 건넨 뒤에 받을 수 있게 했다. ... ...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한 생명
과학
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비밀을 파헤치는 데 기여한 공로가 인정됐다. ○뉴호라이즌 수학상 신진
과학
자에게 수여되는 뉴 호라이즌 수학상 수상자는 총 3명이다. 바가브 바트 미국 미시간대 교수는 대수기하학 중에서도 P 진수 코호몰로지(가환군의 수열 연구) 이론을 개발한 공로를, 알렌산드르 로구노프 미국 ... ...
"긴 장마, 기후변화 탓만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더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이준이 부산대 기후
과학
연구소 교수도 참여했다. 하경자 부산대 교수팀이 3월 '환경연구레터스(ERL)'에 발표한 연구 결과의 일부다. 현재의 온실기체 배출량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한반도에 기후변화에 의한 강수량 변화가 나타나기 ... ...
[코로나19 데이터리포트]분노한 사람들, 가짜뉴스 전파에 앞장 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사람을 행동을 하는 경향이 강해진다”며 “실제 연구 결과 분노한 사람들이 헛소문을
과학
적으로 믿을 만하다고 더 잘 믿었으며, 따라서 이들 가짜뉴스를 공유하는 데에도 더 적극적이었다”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일수록 더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코로나19와 같은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해가 사라지는 부위에서 주로 작은 돌맹이 만한 돌조각들이 튀어나온다는 것이다.
과학
자들은 두 가지 가설을 제안했다. 우선 열에 의한 균열이 돌조각을 만들었을 거란 주장이다. 베누 표면의 바위는 태양을 바라보는 낮에 가열되고 밤에는 냉각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팽창과 ... ...
[김우재의 보통
과학
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
2020.09.10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
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