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몸도 마음도 튼튼해지는~건강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아는 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부족한 체력을 보완하기 위해 측정한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
해야 하지요. 그렇기에 새로운 건강평가시스템에서는 친구들의 결과에 맞게 신체활동 처방을 내려요. 이름하여‘슈퍼 신체활동 10’1 : 1 맞춤식 신체활동처방전신체활동처방 결과지에서는 나에게 적합한 ...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거닐었다.이때에는 자연계에 있는 물체를 정밀하게 묘사한 모형인 ‘디오라마’를
활용
한 전시 기법이 크게 발전했다. 1913년 런던 동물원은 디오라마에 근거한 인공 산을 만들어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195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는 동물원 공간을 지리학적으로 배치하는 방법이 도입됐다.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측정하면 변화값이 매우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 분자를 인식하는 바이오센서로
활용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그래핀의 연구 범위와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그래핀 연구 분야는 한국인 최초의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탄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름을 올린 것이다. 박 교수는 이 연구의 실험결과와 물리학적인 근거를 수퍼 컴퓨터를
활용
해 해석하는 임무를 맡았다.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김대식 교수 등과 함께 발표한 이 논문은 파장이 수 mm인 테라헤르츠파 영역의 빛을 폭이 수십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금속 나노 구멍에 통과시켜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있다. 비타민제 복용은 물론 식단을 구성하는 평범한 일상에도 화학적 지식이
활용
된다. 각종 요리책은 음식재료의 화학적 정보를 소개하고 있으며, 일부 고급식당에는 ‘분자요리’라 불리는 생화학 메뉴판이 등장했다. 건강을 자연과 운명에 맡겨두었던 과거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현대인이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빛이 거의 도달하지 못한다. 그래서 심해저 동물들은 빛을 감지하는 센서인 시각 기능을
활용
하기 힘들다. 반면 소리의 경우 공기보다 오히려 물속에서 더 잘 전달되므로, 물에 잘 흡수되지 않는 낮은 저주파의 음파를 내보내고 돌려받는 방식으로 주변 사물을 감지하는 것이 빛보다 훨씬 유용할 ... ...
구조물 안전 지키는 ‘족집게 명의’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흐름을 만들어가는 주인이 될 거예요.” 고수의 비법전수좌뇌와 우뇌의 가치를 골고루
활용
할 수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공대는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베이스캠프와 같은 곳이다. 공학에 기초해 관심 분야를 넓히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이 참 많다는 점을 깨달았으면 한다 ... ...
화려한 성과보다 과정 제시해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정도 실시한다. 개인의 적성과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대학이 자체 개발한 평가도구가
활용
되기도 한다. 일부 대학에서는 집단 토론이나 발표 평가를 실시하기도 하며, 건국대처럼 1박 2일의 합숙 면접을 진행하는 곳도 있다. 대학이나 전형마다 실시 방법과 내용이 다르므로 선배의 경험 등을 ... ...
내 PC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구분한다.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제대로 입력돼야 사용자는 서버에 저장된 자신의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인터넷 뱅킹도 마찬가지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사용자의 계좌 정보가 저장된 은행 서버에 접근한다. 은행이 게임과 다른 점은 공인인증서와 보안카드 등을 사용해 진입장벽을 높인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텔로미어가 떨어져나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일부 학자들은 텔로미어를
활용
해 새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만약 암세포에서 텔로미어를 강제로 떼어낼 수 있다면 암세포가 스스로 사멸한다는 얘기다.노화를 설명하는 또 다른 갈래는 ‘산화이론’이다.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