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초당 500프레임의 속도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을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일반 카메라의
약
20배 속도). 카메라에 서 생산되는 데이터만 초당 2기가바이트에 이른다. 데 이터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경기장에 설치된 컴퓨터 15대로 동시 전송된다.컴퓨터는 GPS위성에서 사용하는 삼각측량의 원리로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
’은 젊은 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판타지 소설에서 늙은 마녀는 예뻐지기 위해 처녀의 피를 먹는다. ‘엽기적인’ 이런 장면에 과학적 근거가 있는 걸까. 늙은 쥐의 피를 젊은 쥐의 피로 바꿨더니 ‘젊음’을 되찾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놀랍게도 3개 연구팀이 비슷한 시기에 각각 논문을 냈다.미국 샌프란시스코대 해부학과 사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 셈이다.신현준 위원은 “이 기술이 초고층건물의 화재 취
약
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양로원, 소아병원 등 행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있는 시설에서도 피난시 안전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어디서나 눈에 잘 띄어 요새 말로 지역의 랜드마크 구실을 했을 것이다. 1908년부터
약
70년 동안 쉬지 않고 움직였던 탑시계는 1980년대 초 새로운 전자시계와 임무를 교대했다. 역사 속으로 은퇴한 탑시계는 이후 30여 년간 조용히 잠들어 있었다. 그러다 서울대병원 의학역사문화원이 1970년대 말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우주의 근원과 비밀을 찾는 일은 지금도 끊임없이 계속 되고 있다. 중력파를 발견한 지
약
두 달이 지난 현재 바이셉2 연구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0월에 이번 플랑크우주망원경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이 메꿔질 때까지 이 논란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그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백신이나 신
약
을 한 연구진이 단독으로 개발하지 않고 공동연구를 합니다. 신
약
의 경우
약
20개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해요.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Q 최정문(진행자) 교수님은 어떤 계기로 전공을 선택하셨나요?A 고3 때 담임선생님이 화학선생님이셨어요. 하얀 가운을 입고 실험실에 계신데, 그게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는 영 역)에 있는 행성으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행성이 지구의
약
2.5배로 다소 크기 때문에 암석 이 아니라 기체로 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만일 케플러-22b가 위성을 가지고 있다면? 골디락스 영역에 존재하는 암석 위성이라는 최적의 조건이 완성된다. 외 계 행성보다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중 일부가 지구로 다가와 충돌했다고 밝혔다. 공룡 멸종도 그 과정에서 일어났다.실제로
약
2억5000만 년 전부터 생긴 폭 20km이상의 크레이터를 분석한 결과 3500만 년 주기로 증감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 설득력을 더했다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시속 150km로 던진 공이 18.44m 떨어진 포수의 글러브로 들어가는 시간은 불과
약
0.44초. 눈 한 번 깜빡할 사이에 지나가 버리는 공을 타자들은 안타나 홈런으로 만들어낸다. 움직이는 물체를 판단하는 타고난 시각 능력과 뼈를 깎는 훈련 덕분이다.이처럼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는 움직이는 물체를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보이기 위해 금속물질의 너비가 0.75cm 정도로 가늘어야 했다. 가시광선은 어떨까. 만
약
파장 500nm의 초록빛에서 물체를 투명하게 숨기려면, 메타물질 단위 구조의 너비는 125nm 정도여야 한다. 이 정도로 작은 나노 구조를 연결해 사람만큼 큰 망토를 만든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완전히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