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자외선으로
본
금성의 핑크빛 대기HST WFPC-2가 자외선으로 찍은 금성의 모습. 지난 1월24일에 촬영한 것으로 당시 지구-금성간 거리는 1억1천3백60만km. 사진에서 핑크빛으로 화려하게 '메이크 업'한 금성 대기는 황산 구름층이다. 이 구름층이 화산성 지형으로 이루어진 표면을 담요처럼 덮고 있다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를 생각한다."우리들이 만들어낸 그렇게 논리정연하고 아름다운 모델이 추악한 자연의
본
모습에 여지없이 뭉그러지는 비극이 일어나고 있다."우리들이 그렇게 아름다워 보이는 암흑물질이라는 처방 역시 우주의 추한(?) 광역구조에 의해 여지없이 뭉그러지는 순간, 사람들은 하는 수 없이 이런 ... ...
기계도 피로를 느낀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균열이 발생하고 이것이 점점 커져 파손에까지 이르게 된 것으로 규명됐다.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재료의 파손은 부분적이라 할지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엄청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미국의 1982년 통계에 따르면, 재료의 파손에 따른 비용은 GNP의 약 4%에 해당되는 1천1백9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Magic Johnson)이 한국을 방문해 국내 농구팀과 시범경기를 가졌다. 이 시합을 지켜
본
관중들은 이미 전성기가 지난 미국 선수들이 한국 농구 최강팀인 기아를 마치 어린아이 다루듯이 일방적으로 밀어 붙이는 것을 보고 두 나라의 농구 수준차를 실감했을 법하다. 또한 에이즈(AIDS) 항체 양성 반응자로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
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아무도 모른다. 인간에 대한 기
본
적 이해에서부터 우리가 수십년 후에나 가능하다고
본
여러가지 과학기술의 난제가 하루아침에 풀릴 수도 있다.또하나 비록 외계인찾기가 실패하더라도, 대부분의 과학기술연구가 그러했듯이 생각지도 못했던 소득이 생길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파와는 또다른 ... ...
멀티미디어 시대의 주역 TV인가 PC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PC모니터의 한계는 액정기술이 해답을 제시해줄 것이다. 일
본
에서 최근 선보인 55인치 대형 액정화면은 앞으로 TV나 PC의 모니터가 궁극적으로 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화면 크기를 확대할수록 모니터의 길이가 뒤로 길쭉해지는 현상을 막고 좁은 공간을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그리하면 앞의 반론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프리막은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최근 일
본
의 뉴트리노(중성미자) 망원경은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잃어버린 질량의 어느 정도는 설명해줄 수 있다는 '훌륭한 단서들'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오메가=1'을 만들기 위한 노력슈퍼컴퓨터에 의한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밝히는 리만기하학으로까지 성장한 것이다. 이상은 순전히 기하학적인 측면에서만
본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탄생 배경이었다. 그러나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등장은 문화 전반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특히 사상면에서 '절대진리'로 믿어왔던 평행선 공리의 부정은, 진리란 무엇이며 과연 그것은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는데, 그 소식이 신문에 보도되었다.마침 이 기사를
본
안나 마이어 - 슈미트(이때 안나는 마이어와 결혼한 상태였다)가 축하 카드를 보내자 아인슈타인은 그들이 함께 했던 "사랑스런 날들을 안나보다 더 아름답게 기억한다"면서 연구소로 꼭 와 달라고 했다. 밀레바가 ... ...
2. 인간 흉내일 뿐 기계 한계점 극복 불가능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펼쳐
본
다면 어떻게 될까? 의문은 꼬리를 물게 된다.물론 이들의 주장이 강인공지능을 근
본
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근거는 희박하다. 어쩌면 영국의 수리물리학자 펜로즈(Penrose)가 '황제의 새마음'(Emperor's New Mind)이라는 책에서 주장한대로 현재의 물리학적 지식만 가지고는 마음이라는 현상을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