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은 학교를 졸업하면 쓸모가 없다는 편견이 곧 수그러들 전망입니다. 지난 4월 27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제20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정 ... 같은 기술 분야의 문제도 지원합니다. 산업수학이 발전할수록 일반 국민의 삶도 나아질지 눈여겨볼만합니다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다고 해도 그 차이는 매우 사소할 거예요. 따라서 P-value만 믿고 마치 통밀빵 20개만 먹으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해서는 안 됩니다. 연구 결과를 볼 때 이런 문제점은 없는지 한 번 살펴보세요. 연구가 과장되지는 않았는지, 이런 결과를 가져온 다른 이유가 있는 건 아닌지 꼼꼼히 ...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물속에 물체를 넣으면 물체의 부피만큼 물이 넘친다. 금이 은보다 무거우므로 만약 같은 무게라면 금덩이보다 은덩이를 물에 넣었을 때 물이 더 많이 넘치게 된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그리고 아르키메데스가 알게 된 이 사실은 바로 부력의 원리다.부력의 원리를 이용하면 합금에 포함된 ... ...
- [과학뉴스] ‘미세먼지가 암 유발’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나왔다. 홍콩대 웡 칫밍 교수팀은 홍콩에서 10~13년 이상 동안 거주한 65세 이상 노인 6만 6000명의 암 발병률과 지름 2.5μm 이하 초미세먼지(PM2.5)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분석 결과, 미세먼지가 10μg/m3 증가할 때마다 암 발병률이 평균 22% 증가했다. 상부 소화기관(식도, 위, 십이지장)의 암 발병률은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찾아낸 외계행성 후보 4302개를 분석한 결과다. 케플러우주망원경은 지구로부터 1억2000만km가량 떨어진 거리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4년 동안 약 15만 개의 별을 관측했다. 별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가 별과 망원경 사이를 지나가면 망원경이 관측하는 별의 밝기가 변하는데, 이를 토대로 행성 후보를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픽미, 픽미, 픽미 업(pick me up)” 15살이나 됐을까 싶을 정도로 앳된 소녀들이 나와 자신을 뽑아달라는 노래를 부른다. 매력적인 101명의 걸그룹 ... 비록 많은 시청자들이 심심풀이로 보는 가벼운 오락 프로그램에 불과할지도 모르지만 이것이 현대인에게 주는 시사점은 결코 가볍지 않다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카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다. 염기서열은 1만 개 정도로, 1만8000개인 에볼라보다 짧다. 염기서열은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 같이 형태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 유력한 가설이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 브라질 정부는 올해 안에 백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갈 길이 멀다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신고 건수는 2015년 195건으로8배 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일반 대기업 중에는 삼성전자만이 버그바운티를 시행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스마트TV 한 분야에 국한돼 있는 상황이다. 크라우드 시큐리티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캐나다에서는 국제 제로데이 취약점 찾기 대회인 ‘캔섹웨스트 폰투오운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해야 연구할 수 있었다. 나도 그런 이유 때문에 일본에서 오랫동안 연구를 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처음부터 국내 연구자가 연구를 주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기초과학 연구의 질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한국이 첨단 연구의 중심이 될 수 있다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적용한 고분자 계열의 압전소자보다 훨씬 성능이 좋은 압전소자가 이미 개발돼 있지만, 납 성분이 들어 있어서 귀에 삽입할 수 없다”며 “기존 소자와 성능이 유사하면서도 인체 친화적인 새로운 소자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 ...
이전4134144154164174184194204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