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환경, 방사성 물질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잘 살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지요.일본 도쿄대학교 구니에다 다케카즈 교수팀은 물곰의 유전 정보인 DNA를 분석했어요. 그리고 물곰의 DNA를 보호하는 ‘방패’ 단백질을 찾았지요. 이 방패 단백질은 물곰이 방사선을 맞으면 DNA를 껴안듯 감싸 보호하는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는 탐사기록 다운로드 기능 제공Q 지구사랑탐사대란?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교수팀이 함께하는 무료 생태 탐사 프로그램이에요. 온가족이함께하는 생태탐사이자, 시민이 과학자의 연구에 참여하는 대규모 시민과학 프로젝트지요.탐사대원으로 선발되면 4월 초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껍데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지난 2010년 영국 셰필드대학교와 워릭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닭이 없으면 달걀이 존재할 수 없다고 밝혔어요. 슈퍼컴퓨터로 분석한 결과, OC-17이 달걀 껍데기의 주재료인 탄산칼슘 성분을 광물 형태로 바꿔 단단한 껍데기를 만든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 ...
- Intro. 황금비의 대명사는 파르테논 신전과 앵무조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속았다. 속아도 단단히 속았다.’황금비의 사례로 알려진 대부분의 건축물, 예술작품에는 황금비가 없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수학적으로 아름다움을 증명한 비라고 오해한 탓에 수많은 역사가와 예술평론가가 황금비에 쉽게 현혹되고 말았습니다. 한 번 잘못 알려진 황금비 작품은 그게 사실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멉니다. 다 빈치가 황금비를 토대로 작품을 만들었다는 증거도 없습니다.박제남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황금비를 적용한 예술작품이 많은데, 굳이 황금비인지 아닌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작품을 황금비 작품이라고 소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황금비 열풍의 범인은 파촐리황금비를 ...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소수가 사용하는 언어도 컴퓨터가 번역할 수 있을까. 조성배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그런 걸 해보려는 게 구글의 다중언어모델”이라고 말했다. 다중언어모델은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여러 언어를 번역하기 때문에 적은 예시만으로도 좋은 번역기를 만들 수 있다. 조 교수는 “예제가 ... ...
- 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는야 텔로미어! 사람 몸속에 살고 있지. 내 특기는 어떤 생물이든 보기만 해도 나이를 척척 맞추기야. 이 나무는 50살이고, 저 조개는 80살이군. 저기 보이는 해면동물은 무려 1만 1000살이라고!그걸 어떻게 아냐고? 지금부터 내가 그 비밀을 알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 ... ...
- 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세포의 수명을 알려 주는 텔로미어우리 몸 세포는 끊임없이 태어나고 죽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어요. 시간이 지나면 길게 자란 손톱과 머리카락을 잘라야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그런데 세포가 언제 태어나고 죽는지를 결정하는 건 무엇일까요? 그 답은 ‘텔로미어’랍니다.우리 몸은 약 60조 개의 ... ...
- [과학뉴스] 약을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또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에 이롭고 값이 저렴하답니다.연구를 이끈 아이트호벤대학교 티모시 노엘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 나뭇잎은 깊숙한 정글에서 말라리아 치료제를 만들거나 우주여행 중 진통제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100일 동안이나 꽃 피는 무궁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꽃을 피울 수 있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경상대학교 공동연구팀이 그 이유를 알아냈답니다. 무궁화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꽃을 피우는 개화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다른 식물보다 많다는 것이 밝혀졌거든요.무궁화는 2200만 년 전에 목화에서 진화했는데, ... ...
이전4134144154164174184194204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