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이후"(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이유는 불의 열기로 결정 결함에 잡혀있던 전자가 다 빠져나가 ‘영점조절’이 된 이후에 다시 전자가 축적된 것이기 때문이다. 열발광연대측정 결과 6번 층의 시료들은 평균 30만2000년, 7번 층의 시료들은 평균 31만5000년 전에 불에 탄 것으로 분석됐다. 측정과정의 불확실성을 감안한 표준편차는 3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섭취하더라도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은 그룹이 낮은 음식을 먹은 그룹에 비해 이후 하루 동안 칼로리를 29% 더 섭취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한편 동일한 음식이라도 먹는 시간대에 따라 허기를 느끼는데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하루 섭취량을 성인 여성 기준의 70% 수준인 14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같이 춤을 추자고 농담을 던졌다. 화합물E의 실체는 코티손(cortisone)으로 이 무모한 임상 이후 기적의 염증치료제로 널리 쓰이게 된다. 이처럼 황당한 생체실험을 한 헨치와 망설이다 시료를 건네 준 켄들은 이 업적으로 195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스테로이드 약물은 효과에 상응하는 엄청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2017.05.16
- 수도를 호경에서 동쪽의 낙읍으로 옮겼는데 이를 분기점으로 이전을 서주(西周) 이후를 동주(東周)라고 부른다. 공자가 살았던 춘추시대 주(周)나라와 주요 제후국을 보여주는 지도. 공자는 노(魯)나라 사람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 동주시대 여성, 못 먹어서 키도 작아져 연구자들은 양사오문화 ... ...
- 사막에 숨겨진 속살, 더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있는데, 아직 알려지지 않은 건조 산림 지대가 더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네요. 이후 과학자, 환경학자들의 행보가 어떻게 달라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2017.05.07
- 인류의 오랜 진화적 유산입니다. ● 할머니, 할아버지가 키우는 아이들 미국은 1970년대 이후 치솟는 이혼율과 십대 임신, 약물 남용 등의 사회적 현상으로 인해서, 조손 가정의 비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미 70년대 초반 무려 3%의 가구가 조손 가정이었는데, 이러한 추세는 갈수록 심각해지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보통인 후회', 또 '약한 후회'를 써보게 했다. 또는 후회되는 일 한 가지를 써보라고 한 후 이후에 그 내용이 일적인지 아니면 관계적인지 등에 따라 카테고리를 나누고 또 후회의 강도를 평가하는 작업을 했다. 그 결과 대체로 ‘강한’ 후회들에는 일보다는 주로 인간관계에서 일어난 일들이 많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2017.04.11
- 가운데 하나인 이유다. 어쩌면 남성의 평균수명이 여성보다 수년 짧은 것도 중년 이후 수면의 질 차이에서 비롯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실망스럽게도 리뷰논문은 나이 듦에 따라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치중할 뿐 이에 대한 해결책(또는 해결하려는 노력)에 대해서는 짤막하게만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부임하셨는데, 저는 처음부터 함께한 것은 아니고, 연구단 출범 이후 2015년 11월에 합류했습니다. Q: 삼성종합기술원을 다니다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으로 옮기셨습니다.A: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약 10년간 바이오칩, 랩온어칩(lab-on-a-chip)을 연구했습니다. 2008년 UNIST가 개교를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남달리 컸음에도, 큰 단백질 분자도 호르몬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추측되기 시작했다. 이후 2003년 일본의 고지 고토 박사가 FT단백질 유전자가 관다발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밝히고, 2007년 독일 쿠플랜드 교수 등이 애기장대와 벼에서 FT단백질이 잎에서 생성돼 생장점에 있는 정단조직으로 ... ...
이전4124134144154164174184194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