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사 한 방이면 남자에서 여자로?
과학동아
l
2014.07.01
사례”라며 “양식뿐 아니라 생태계를 교란하는 다른 해양갑각류들의 개체 수를 성별을
조절
해 줄이는 데도 이번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 ...
항암치료 효과 2.5배 높이는 DNA 나노머신
과학동아
l
2014.06.26
만든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구조체로, 산ㆍ염기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빛과 온도를
조절
해 움직임을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산도가 높은 환경이 되면 서로 모여 자기조립되는 DNA 나노머신을 디자인했다. 세포에 삼켜진 나노머신은 세포내 산성을 띠는 엔도좀(endosome)이란 공간으로 ... ...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25
한쪽 나선의 손상을 인식하는 단백질인 ‘ATR’로부터 신호를 받고, 신경세포의 사멸을
조절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신경세포가 일부 손상을 입으면 더 이상 큰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쪽 끝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연구팀은 ATM이 DNA의 이중나선이 지나치게 꼬이지 않게 만드는 효소가 제 기능을 ... ...
헉! N극과 S극이 막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6.24
김기훈 서울대 물리천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전기장만으로 물질의 자화방향을
조절
할 수 있는 신물질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자기소자는 하드디스크 같은 컴퓨터용 저장장치로 자주 쓰인다. 저장장치 표면을 수없이 잘게 구분해 N극과 S극으로 바꿔가며 컴퓨터의 0과 1을 저장하는 ... ...
촉매제로 쓰이는 제올라이트의 ‘속사정’
과학동아
l
2014.06.23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홍 교수는 “제올라이트의 뼈대 원소의 분포를 원하는 대로
조절
한다면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제올라이트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온라인판 최신호에 실렸다. ... ...
[인터넷 코리아 20년]앞으로 20년 ‘사물인터넷’이 화두다
동아일보
l
2014.06.20
등 다양한 전자업체들과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구글 역시 올 초 디지털 자동온도
조절
장치를 만드는 네스트랩을 3조3000억 원이라는 천문학적 금액에 인수하고 홈시큐리티 폐쇄회로(CC)TV 업체인 드롭캠 인수를 추진하는 등 스마트홈 역량 강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국내업체로는 삼성전자가 ... ...
마약처럼 금단증상 생기는 ‘자외선 중독’
과학동아
l
2014.06.20
쪼였다. 자외선의 양은 ㎡당 50mJ(밀리줄)로 피부는 검게 타지만 화상은 입지 않을 정도로
조절
했다. 실험 결과 한동안 자외선에 노출된 쥐의 피부에서는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이라는 물질이 합성됐다. POMC는 피부 세포에 멜라닌이 생성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주로 하지만 일부는 ... ...
[World Cup Brazil 2014: 대~한민국!] 2·3차전 경기장 기후, 승패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2014.06.19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서상훈 연세대 체육교육학과 교수는 “인체는 체온
조절
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습도가 높으면 땀 증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열 방출에 어려움이 생긴다”면서 “체온 상승은 스트레스 증가로 이어져 경기력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 ...
휘어지는 e신문 개발 성큼
과학동아
l
2014.06.18
결합체를 만들어냈다. 연구팀이 만든 결합체는 양자점과 유기반도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
하는 방법으로 그 특성을 조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멀리 연결돼있으면 발광색을 변경할 수 있고, 가까이 붙어있으면 전하전달이 원활해져 태양전지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주 교수는 “3~5년 안에 ... ...
세포 ‘안테나’ 고장 냈더니 발가락이 7개
과학동아
l
2014.06.10
수가 많아지는 이상이 확인됐다. 고 교수는 “희귀 질환의 원인을 밝힌 만큼 ICK를
조절
하는 약물을 발굴한다면 섬모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2일자에 실렸다. ... ...
이전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