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5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뇌에서 또 한 번 AI원리 발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1
고뇌와 고뇌 후 내리는 행동을 결정짓는 물질은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이다.
세포
를 자극하는 도파민은 인간의 행위에 따른 보상에 따라 다른 양이 흘러나오며 인간이 보상을 배우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지난달 15일 도파민이 뇌를 학습시키는 새로운 원리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는데 ... ...
"아프리카인도 네안데르탈인 DNA 다수 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생활상을 나타낸 모형이다. 막스플랑크 연구소 제공 아프리카인의 게놈(유전체,
세포
가 지닌 DNA 총합)에도 기존 예상보다 훨씬 많은 수의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포함돼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 동안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 사이의 교류는 인류가 아프리카 대륙을 ... ...
'신종 코로나' 백신 개발 성공해도 현장 투입까진 수개월 걸릴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구조 특징을 밝힌 것이 큰 도움이 됐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하나의
세포
에서 다른
세포
로 옮겨가는데, 타미플루는 이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작용을 막아 확산을 막는다. 정 교수는 “바이러스 특성에 딱 맞는 약점을 찾아야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며 “코로나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보다 ... ...
신종 코로나 원인은 박쥐, 하지만 확산 숨은 주범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30
알아냈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
세포
표면에 나 있는 ACE2 수용체에 들러붙어
세포
내로 침입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유래한 것은 분명 전문가들은 박쥐가 가지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신종 ... ...
NEJM 논문으로 본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배양으로 실체 확인"
연합뉴스
l
2020.01.29
제갈동욱 교수는 "환자의 검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분리하고, 정상
세포
에서 배양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어느 정도 바이러스의 실체에 다가섰다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 "다만, 향후 영장류 실험 등을 통해 이 바이러스의 병원성 등을 더 규명해야만 백신개발 등을 시도할 수 있는 만큼 추가 ... ...
신테카바이오-레고켐바이오 AI활용 합성신약 후보물질 연구 손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8
상장됐다. 레고캠 바이오는 항암약물을 항체치료제와 접합시킨 기술로 항암약물이 암
세포
에서만 작용하도록 유도하는 ADC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는 기업이다. 약물의 기본 골격에 기능성 화학구조물을 추가로 연결해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레고케미스트리’ 등의 기술도 ... ...
日 오사카대 연구팀, iPS
세포
로 만든 심장근육 세계 첫 이식
연합뉴스
l
2020.01.28
목표로 하겠다"고 말했다. 사와 요시키(澤芳樹) 오사카대 교수가 27일 유도만능줄기(iPS)
세포
로 만든 심장근육을 중증 심부전 환자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시작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진핵생물 진화 밝힐 고세균 배양 성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이마치 히로유키∙노부 마사루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 연구원 연구팀은 초기 진핵
세포
의 진화 경로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스가르드 고세균’ 배양에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번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실험실 환경에서 아스가르드 고세균을 배양하는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 ...
[카드뉴스] 꼰대는 잘못된 게 아닙니다. 성격이 변한 것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용적이 줄어든다는 것은 신경
세포
들이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경
세포
는 거의 재생되지 않으므로 뇌 용적의 감소는 필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와 행동의 변화로 이어집니다. 나이가 들면 뇌의 전반적인 기능 저하도 일어납니다. 뇌껍질에 둘러싸인 안쪽의 뇌 백질에는 정보 교환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내일의 지구를 위한 화학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모델링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했다. 베아트 에셔 독일 헬름홀츠환경연구센터
세포
독성학과 교수팀은 실내와 야외에서 발생하는 화합물을 검출하고 특성을 분석해 인체와 환경에 끼치는 독성 영향을 분석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실었다. 특히 화합물끼리 결합하면서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 ... ...
이전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