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아래"(으)로 총 4,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자단 창단 빅 이벤트 당첨차 발표!기사 l20140403
- 항공권+헬로키티 아일랜드 초대권’을 비롯한 많은 상품의 주인은 누가 됐을까요? 함께 알아 볼까요? ↓↓↓↓↓↓↓↓↓↓↓↓ 아래 동영상을 확인해 주세요! ↓↓↓↓↓↓↓↓↓↓↓↓ 1등: 제주도 4인 가족 왕복 항공권 + 제주 헬로키티 아일랜드 초대권 김승범 2등: 넥서스 7 2세대 ...
-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보셔요! 암사동 선사 유적지를 다녀와서.....기사 l20140402
- 두고 손바닥으로 밀어서 뱀처럼 만들고 (굵기가 일정하게 하는 것이 관건)=> 길게 만든 반죽을 둥그렇게 돌리는데 윗부분은 넓고 아래로 내려갈 수록 작게 만들어서=> 끝을 뽀족하게 만들어 마무리 한뒤=> 겉과 안쪽에 손가락 끝으로 문질러서 표면을 밋밋하게 만들고=> 물을 뿌려서 잘 손질한 다음에=> 끝이 뽀족한 도구로 겉에 빗살 모양을 새겨요 ...
- 딸기체험 갔다와서.....(제주한경면 저지리) 딸기체험갔다와서(제주 한경면 저지리)기사 l20140323
- 우리가족은 제주 한경면 저지리에 갔다. 거기서 딸기체험농장 가는것은 힘들었다. 흑흑흑길이 덜컹거리고, 흙먼지가 날렸지만 표지판이 있어서 다행히 잘 찾아갔다. 딸기체험농장에 도착하니 다른사람들도 많 ... 터질뻔 했다. 그리고 수경재배를 하는 딸기라서 씻지않고 바로 따서 먹을수 있었다. 나는 제주도에서 살아서 이곳에서 많을 일을 겪었다.아래 ...
- 판교의 아이큐아리움을 다녀와서... 고대 생물과 교감 해봤니?기사 l20140323
- 아쿠아킷에 올라오는 물고기를 만들어진 바다공간에서 찾아서 잡는 미션이 주어졌다. 우리가 알고있는 평면적인 물고기 모양을 위,아래,옆 모양을 상상하면서 잡아야되기 때문에 물고기의 모습하나하나에 집중하고 움직임에도 신경을 쓰면서 물고기와 교감을 하게 만들었다. 나는 알고있는 물고기 같은데 잘 알아채지 못해서 매번 놓치는 것이 너무 안타까웠다. 나폴 ...
- led전구 회로 하는법은 아래로 준비물:전자블록, 배터리, 배터리 끼우개, led전구,포스팅 l20140321
- led전구 회로 하는법은 아래로 준비물:전자블록, 배터리, 배터리 끼우개, led전구, 회로 두개 ...
- 참나무과 나무들 산에 올라가면 만나게되는 활엽수들~기사 l20140314
- 잎을 깔았고, '신을갈다'라는 뜻에서 신갈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대요. 다른 참나뭇과 나무들과 잎모양으로 구분되는데, 신갈나무 잎은 아래가 불룩한 물 주머니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비교적 규칙적인 모양의 톱니모양이 있어요. *졸참나무 : 도토리가 잘다고 졸참나무라고 불린대요. 갈참나무 잎은 거꾸러 선 달걀모양이고, 졸참나무의 잎은 긴 타원 모양에 잎 ...
- 거중기야 넌 누구니? 거중기와 도르래의 과학원리기사 l20140309
- 공중에 둥둥 떠 있어서 밑에서 위로 줄을 잡아 당겨야 해서 좀 힘듭니다. 고정도르래는 천장에 붙여서 그 덕분에 줄을 위에서 아래로 잡아당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편리하지만 그 무게는 같기 때문에 무겁습니다. 그러니까 무겁지도 않고 사용하기 편리한 도르래는 바로 복합도르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정도르래와 움직도르래를 합쳤을 때 나온 것으로 거중 ...
- 구름의 양이 감소하고 있는것을 알고 있니? 온난화 가속화의 원인을 파헤치자기사 l20140308
- 농도가 2배로 증가하면 1.5~5도 상승할 것이라는 어림 짐작만 하고 구름의 양을 고려하지 않았대요.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아래와 같이 구름의 양과 온난화의 관계를 밝히려는 노력들을 하고 있대요. 1. 건조한 대기가 대양 구름과 섞이면서 낮은 구름이 더 엷어져 지구 온난화 속도가 더욱 가속화 된다. 2. 구름의 양은 기후 민감도 변동 요인의 ...
- 美, 목성 얼음달 '유로파' 탐사 추진기사 l20140305
- AP통신에 전했다.유로파는 60여개 목성 위성 중 하나로 지구의 달보다 조금 작은 규모다. 유로파의 표면은 얼음으로 덮여 있고 이 아래에 지구의 물 전체를 합친 것보다 더 큰 바다가 있어 어류 같은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곳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때문에 학계 일각에서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낮은 화성에만 탐사 예산을 쏟아붇지 말고 유로파 ...
- 큐리오시티, 4.97km 이동기사 l20140304
- 2012년 8월 화성에 첫발을 내디딘 이후 지금까지 총 4.97㎞를 움직였습니다. 모래언덕을 넘어설 때 큐리오시티에 부착된 카메라가 위, 아래를 촬영한 영상도 전송해왔습니다. 큐리오시티는 1년6개월 동안 화성의 여러 모습을 찍어 지구로 보내왔습니다. 나사의 화성과학실험실은 탐사선 큐리오시티를 통해 화성의 고대 환경은 물론 최근의 환경 변화 등에 ...
이전4124134144154164174184194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