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그 바로 아래에 폭신한 부분이 보인다. 이들은 발톱 아래 폭신한 부분이 먼저 닿고 그
다음
발톱부분이 닿는다. 그래서 개나 고양이는 소리를 내지 않고 조용히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이런 동물을 ‘지행동물(digitigrade)’이라고 한다. 반면 말이나 사슴처럼 발굽이 있는 경우는 이와 좀 다르다. 발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올린다.❺ 마지막으로 ❸에서 꺾어 올린 ㉣의 고를 ㉡의 고 뒷쪽으로 한 번 감는다. 그런
다음
㉣의 고를 가운뎃손가락의 고리 아래로 끼워 넣는다.❻ 가운뎃손가락을 빼고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매듭을 천천히 잡아당긴다.❼ 매듭이 동서남북으로 같은 모양이다. 절반이 완성된 동심결의 모습.❽ ㉠ ... ...
나도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금융전문가가 어떠한 일을 하는지
다음
호에서 알아보도록 해요. 힌트를 주자면 위험을 깨닫고 미리 대비하기 위해 주가의 움직임, 이자율의 움직임, 회사의 부도확률 등을 수량으로 나타내는 계량화 과정이 필요하답니다. 이를 위해서 수학이 필요한 ... ...
숨어있는 분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000이라면, 실제 거리를 150000로 축소시켜 지도 위에 나타냈다는 뜻이다. 축척 표시 방법
다음
지도를 보고 지도 위의 거리가 실제로 얼마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자.축척 1100000이고 지도 위의 거리가 3cm이므로 이를 이용해 방정식을 만들 수 있다.따라서 실제 거리는 3km가 된다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탈레스는 기하학에서 몇 가지 업적을 남겼다.탈레스가 증명했다고 전하는 4가지 정리는
다음
과 같다.➊ 원은 지름으로 이등분된다.➋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은 서로 같다.➌ 두 직선이 만나면 만난 점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각은 서로 같다.➍ 두 삼각형의 대응하는 한 변과 두 각이 각각 서로 ... ...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달리고 있다. A지점을 지난 지 x분 뒤에는 A지점으로부터 ykm 떨어진 곳을 지난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라.1 x와 y사이의 관계식을 구하라.2 A지점을 지난 지 30분 뒤에는 A지점으로부터 몇 km 떨어진 곳을 지나는가?풀이➊ 1분에 3km씩 움직이므로 x분 후에는 3x km 떨어진 곳을 지난다. 따라서 y=3x가 ... ...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거야. 타자 9명 중 가장 중요한 선수가 4번 타자거든. 1번이나 2번 타자가 출루하면 그
다음
타자는 주자를 득점 위치로 옮겨 놓는 전략을 펴지. 이때 바로 4번 타자가 들어서는거야. 그래서 4번 자리에는 홈런을 잘 치고 찬스에 강한 타자가 필요해.4 농구, 테니스, 탁구 등 거의 모든 스포츠 경기장이 ... ...
의뢰 2 도박으로 날린 돈을 찾아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에 사람들은 복권추첨에서 많이 나오지 않았던 13이 큰 수의 법칙을 따르기 위해
다음
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린다. 하지만 조셉 베르트랑의 말처럼 13이 나올 확률은 언제나 똑같다. 절대로 이런 논리에 현혹돼서는 안 된다.한탕만 씨 정신 좀 차리셨나요? 얼마나 무모한 일을 하셨는지 ... ...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학자들은 그 값이 유한으로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정사각형을 보자. 무한은 오래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갈망했음에도 불구하고 감히 다가갈 수 없는 세계였다. 그러나 무한을 인정하면서 수학은 놀랍도록 발전했다. 무한에 대한 인류의 호기심은 끝없이 ... ...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것이지요. 이는 모두 사실이지요.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진실에 도달할 수 있을까요?
다음
과 같은 의문이 생길 수 있을 것입니다.수학에서 참인 사실에서 거짓 규칙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셈 도사여, 그대의 대답이 듣고 싶소이다. 그것을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해 주기 바라오.”베레미즈는 ... ...
이전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