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스페셜
"
약
"(으)로 총 4,57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연구결과가 실렸다. 영국 리버풀대 일릭 사케리 교수팀은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약
200년 전 얼룩나방의 17번 염색체에 있는 코텍스(cortex)라는 유전자의 첫 번째 인트론에 전이성 인자가 끼어들어가면서 검은색 변이체가 등장했다는 시나리오를 내놓았다. 즉 19세기 초에 우연히 나타난 변이체가 ... ...
13만 km 혈관에 숨어 있는 삶과 건강
IBS
l
2016.06.01
감소하며 생존율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했다. 앱타를 항생제와 함께 투여하면 생존율은
약
70%까지 높아졌다. IBS 혈관 연구단이 개발한 신개념의 실험적 항체 '앱타(ABTAA)'는 ANG2 단백질에 의한 혈관손상을 막고 TIE2 수용체를 활성화해 혈관을 강화한다. 표적물질인 ANG2 단백질에 결합해 혈관손상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들이 많다. 예를 들어 한 그룹은 펜을 입술로 고정하게 하고(
약
간 화난 표정이 된다) 다른 그룹은 이로 물게 한 뒤(웃는 표정이 된다) 같은 카툰을 보게 한 뒤 평가하게 하면 펜을 이로 문 그룹이 더 재미있다고 평가한다. 펜을 입술로 고정한 그룹은 재미있는 내용을 봐도 ... ...
동성 커플의 자녀, 가정에서 행복감 느낄까
2016.05.10
Health Interview Survey, NHIS) 자료에 의하면 미국에서만 69만 쌍의 동성커플이 있고 그 중
약
19%의 커플들이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키우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80년대 정자은행이 생기면서 레즈비언 커플들이 아이를 가지기 시작했고, 이후 게이 커플들의 입양이 합법화 되었다. 이런 흐름에 따라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들어 기원전 8세기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스’는 톨렌제 계곡 전투가 일어나고
약
100년 뒤에 벌어진 트로이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가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작품에 묘사된 전투장면을 후세의 창작으로 여겼다. 기사에서 독일고고학연구소 스벤트 한센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호기심에 이런 긍정적인 면보다 부정적인 면을 더 많이 부여하는 것 같다. ‘모르는 게
약
’이라는 말도 있듯이 쓸데없는 호기심이 화를 부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숫타니파타’ 같은 불교 경전을 보면 호기심을 억제하라는 구절이 여러 곳에서 나온다. 호기심은 많은 문학작품에서 모티브가 ... ...
호킹 “나노 돛단배로 ‘인터스텔라’ 계획 실현하겠다”
2016.04.13
우주 비행한 1961년 4월 12일의 55주년이 되는 날”이라며 “인류 우주 개척의 위대한 도
약
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호킹과 밀너는 “마치 날개를 편 나비떼가 날아가는 광경이 연출될 수 있다”며 탐사 개념도를 소개했다. 초소형 우주선을 수천 개나 쏘는 이유는 우주 먼지에 부딪혀 파괴되는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스페인 지역에서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Y염색체 게놈을 해독한 결과 현생인류와
약
59만 년 전 갈라졌고 그 뒤 교류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2010년 처음 핵 게놈이 해독된 뒤 지금까지 다섯 명의 네안데르탈인 게놈이 해독됐지만 공교롭게도 다 여성이었기 때문에 Y염색체 게놈에 대한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생물학 둘 다 공부할 수 있었던 그 곳에서 그는 차근차근 꿈을 키웠다. 대학원 때부터
약
30년간 뇌 연구를 해 온 정 부연구단장은 여전히 연구에 대한 열정이 남다르다. 그가 진행한 작업 기억(Working Memory: 일시적인 정보들로 현재 활용되는 기억)에 관한 연구는 2012년 한국연구재단의 ‘10년간 ... ...
핵물질 사찰도 우리 기술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3.29
때 IAEA 장비 측정치의 상대적 오차는 측정 시간에 따라
약
3∼10% 였으나, 개발된 제품은
약
1∽3%로 휠씬 정확했다. 핵물질 사찰에는 측정 시간도 매우 중요하다. 곽 연구원은 “현재 이산화우라늄(UO2) 소결체 측정을 위해 300초 정도 걸리는 측정 시간을 최대 50초까지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