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하지"(으)로 총 4,56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 TNR TNR에 대하여기사 l20160413
- 안녕하세요. 박나현기자입니다.혹시 여러분 TNR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워낙 알려진 자료가 없어 기자도 고생했습니다. 그럼 이 TN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TNR이란 무엇일까요?TNR은 Trap-Neuter-Return의 약자로 ... 언젠간 고양이 개체수 해결방법이 나오지 않을까요?-> 이렇게 길고양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되고 있으니 ...
- 설탕과의 전쟁 전세계 vs. 설탕의 전쟁이 시작되다기사 l20160410
- 먹는데, 이 중 10%면 200칼로리 정도는 당으로 섭취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이제는 5%로 줄어 하루에 100 칼로리만 설탕으로 섭취해야 하지요. 100칼로리면 설탕 약 25g만 먹어도 하루에 먹어야 하는 설탕을 다 먹은 셈이 된답니다.실제로 영국에서는 총리가 어린이들에게 그렇게 당을 많이 섭취하게 해서 미안하다고 사과를 하고, ...
- 김도은 기자님..진짜 같은반이라고 반모하지맙시다.진짜 짜증나요.그리고 다신 저무라고하지 말탐사기록 l20160409
- 김도은 기자님..진짜 같은반이라고 반모하지맙시다.진짜 짜증나요.그리고 다신 저무라고하지 말아주세요.몰라서 그러는건 괜찮은데,알면서진짜.(최대한 진정해서 쓴겁니다) ...
- 유기동물들을 도와 주세요! 위험에 처한 유기동물기사 l20160407
- 엄연한 범죄행위인 것입니다.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유기동물유기동물들은 우리처럼 생명이 있고 생각을 할 수 있는데 말을 하지 못한다고 버리는 사람들이 앞으로 없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유기견들은 구조되지 못하면 자연에서 굶어죽는 등 처참한 몰골로 죽어가야 한다고 합니다. 지금 이때야 말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 아닐까요?친구들도 동물을 입양할 ...
- 맛있는 착각을 하게 하는 컵 후각의 착각으로 미각을 만든다고?기사 l20160406
- 몸은 70%가 물일 정도로 우리 몸에 물은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을 위해서라도 물을 많이 마셔야 하지요. 하지만 물을 자주, 많이 마시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왜냐하면 물은 아무런 맛도 나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아무것도 들어있는 않은 물이 맛있는 주스, 또는 콜라를 마시는 것처럼 느껴진다면 어떨까요?이런 생각에서 발명된 ' ...
- 근데 기자단 바뀐다고 하지 않았어요? 진짜 만우절 장난인가?!포스팅 l20160404
- 근데 기자단 바뀐다고 하지 않았어요? 진짜 만우절 장난인가?! ...
- 우리나라의 24절기에 대하여기사 l20160401
- 10.하지 :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이 가장 많아진다는 것으로 이 열이 계속 쌓여 하지 이후에 더욱 더워져 삼복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11.소서 : 이 시기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계절이며, 장마전선이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질러 장기간 머물러 습도가 높아지고 많은 비가 내 ...
- 동심파괴 호빵맨!!ㅋㅋ 스크랩인데...얘들 얼굴이 다....ㅠㅠ 자세히 보려 하지 마세요포스팅 l20160327
- 동심파괴 호빵맨!!ㅋㅋ 스크랩인데...얘들 얼굴이 다....ㅠㅠ 자세히 보려 하지 마세요 ...
- 운동의 중요성 운동이 없다면 우리는..?기사 l20160326
- 무게)를 주는 운동입니다. 근육은 사용할 때 산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무산소성 운동에 포합됩니다.운동의 필요성만일 운동을 하지 않게 되면 비만, 당뇨 등에 걸릴 수 있고 면역체계가 안 좋아져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습니다. 현대사회에는 기계가 일을 해서 비만이 급증하고 있고 소아비만 비율도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이렇게 ...
- 세종대왕님과의 가상 인터뷰! 우리나라의 혁신, 세종대왕기사 l20160326
-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했었지. 특히 최만리라는 집현전의 학자는 강한 반대세력으로 매일 나를 찾아와 상소문을 올리기도 했다네. 하지만 그 어려움과 난관들을 이겨냈기에 지금 우리가 이렇게 편안한 삶을 살 수 있는 것이오.안시은 기자: 그렇죠. 그런데 세종대왕님께선 한글을 창조하신 것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발명도 하셨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떤 발명을 ...
이전4114124134144154164174184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