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달려있다.로봇 청소기가 청소하기 위해 움직일 장소는 안방이나 거실처럼 직사각형
형태
의 공간이다. 그러나 주위를 둘러보면 알겠지만 생활공간은 의외로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다. 옷장, 테이블, 의자와 같은 다양한 가구가 배치돼 있고 짐이나 쿠션이 방 한가운데 놓여있을 수도 있다. 로봇 ... ...
우주에 거대한 바다 넘실대는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가스의 바다에도 숨겨진 조연이 있다. 이 조연은 가스의 바다에 두드러지는 해안의 파도
형태
를 빚어냈을 뿐 아니라 조명을 비춰 밝게 드러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진에 찍히지 않았지만 왼쪽 위 방향으로 사진 바깥에 있는 젊고 무거운 별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 별에서 쏟아져 나온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방법을 살펴보자. 이산화탄소는 해저에 주입되는 저온·고압상태에서 해수와 반응해 얼음
형태
의 하이드레이트라는 고체 물질로 바뀐다(그림 2). 수심 1천m 이상의 심해는 1℃ 전후의 저온과 1백기압 이상의 고압 상태가 유지된다.이런 조건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저분자량의 가스가 용해되는 경우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만들거나 압착해 둥글게 만들거나, 또는 당을 씌우는 방법으로
형태
를 만든다. 적합한
형태
로 만들어진 껌은 48시간 동안 건조된 후 검사 과정을 거치고 포장돼 판매된다.껌은 소비자가 씹을 때 입안의 체온과 타액으로 인해 부드러워지고 끈적끈적해진다. 만일 이런 껌이 길거리에 아무렇게나 ... ...
줄기세포로 난자 만드는데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절반으로 줄어드는 감수분열을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난자는 단성생식을 통해 원시
형태
의 배아로까지 성장했다.줄기세포를 난자로 만드는 과정에서 연구팀은 인체에 존재하지 않는 화학물질이나 성장촉진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박세필 소장은 “줄기세포를 얻는 ... ...
1 온난화 탈출할 비상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없어 호주와 뉴질랜드에 이민을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기후변화는 심각한 기상재해
형태
로도 나타나고 있다. 1997년 가뭄으로 동남아시아는 산불과 짙은 연기로 몸살을 앓았다. 1998년에는 중국의 양쯔강에 대홍수, 미국에 불볕더위, 유럽에 대홍수가 발생했는데, 기상재해는 날이 갈수록 규모가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잔상효과를 이용한다.지평선의 달이 더 커보인다착시현상에는 뇌도 한몫을 한다. 대상의
형태
나 크기에 대한 정보는 눈의 망막을 통해 시신경을 타고 뇌로 전달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필연적으로 정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심리적 요인이 작용한다. 즉 대상에 대한 정보를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변화에 관한 연구 등도 있다1870년 프랑스광물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폭발의 한
형태
폭발 반응이 진행되는 속도가 음속을 초월하는 현상을 말한다폭약은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폭약의 한 점에 열 · 충격 등 어떤 외적 에너지를 주어 폭발반응을 일으키게 하면 폭굉(爆轟)반응을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미생물과 달리 매우 복잡한 구조와 유전자 조절방법을 갖고 있다. 이뿐 아니라 유전자의
형태
와 종류조차 아직 정확히 파악돼 있지 않다. 더욱이 침팬지 유전자에 대한 연구는 다른 실험동물에 비해 거의 이뤄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인간과 침팬지의 30억쌍 이상의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는 ... ...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있다.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대체에너지분야의 지원은 단위기술 위주의 기술개발
형태
로 이뤄졌다. 그래서 기술개발결과가 보급돼 적용될 수 있는 여건이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기술개발의 결과가 보급 확대로 연계되는 새로운 기술개발프로그램의 추진이 절실하다. 선택과 집중 통해 경제성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