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자
원조자
편짝
d라이브러리
"
한편
"(으)로 총 5,084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아마도 흰개미가 익충(益蟲)역할을 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일 것이다"라고 말한다.
한편
과학자들은 흰개미가 왜 수직 대신 수평방향으로만 집을 짓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블랙은 흰개미들이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런 방향을 취한 것이라고 추측한다. 이들은 집을 ... ...
사과는 수직으로 쌓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결국 사과에는 아무런 압력도 가해지지 않아 흠집이 나거나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다.
한편
사과에 흠집이 나느냐 안나느냐는 사과가 힘을 받아 흡수한 에너지의 양이 얼마나 되는가가 좌우한다. 칸과 빈센트는 예를 들어 록 피핀(Rock Pippin)종의 경우 상하기 전 압력에 의해서 0.5J(줄) 정도의 에너지를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라크의 미사일 발사시에 발생하는 로켓 배기열을 적외선 탐지장치로 찾아 낸다.
한편
첩보위성의 해상도는 극비로 되어 있는데, 지상의 민간인과 군인을 구별할 정도라느니 또는 지상 자동차의 번호판숫자를 읽을 수 있을 정도라느니 하는 추측이 있다. 모스크바광장에서 신문을 읽고 있는 사람의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다시 관심을 갖는 부류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재등장한 뉴로컴퓨터 열기
한편
생리학 해부학 분자생물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원래 컴퓨터와 상관없이 연구를 추진했으며 1960~1970년대에 뇌신경계의 정보처리 원리에 관한 연구 성과가 산더미 같이 축적되었다. 그 증거로 1963년에 하지킨과 헉슬리, ... ...
초음파로 암세포를 파괴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기자재와 연결돼 자신의 치료과정을 볼 수 있다는 것도 심리적으로 큰 위안이 될 수 있다.
한편
초음파치료가 모든 부위의 암치료에 쓰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폐암에는 초음파치료법을 전혀 쓸 수 없다. 이유는 초음파가 공기나 뼈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육 심지어 뇌종양 치료에도 ... ...
TV화면 보다 선명도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장착하고 있다. TTL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16~64가지의 색상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IBM은 EGA를 발표하면서 PGC(Professional Graphics Controller)라는 제품을 함께 발표했으나 640X400의 고해상도 임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워낙 느린데다 가격도 비싸 그래픽 표준으로 채택되지 못하였다. 멀티스캐닝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세로토닌도 가바와 마찬가지로 지나친 흥분이나 과잉활동을 억제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한편
최근 10여년 동안 뇌 활성물질 연구의 주목할만한 발전은 펩티드계 신경전달물질이다. 1970년대 이전까지는 펩티드가 신경전달물질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었다. 물론 펩티드 호르몬들은 이전에도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연구된 바는 적으나 불안과 같은 감정 및 히스테리 신경증은 우반구장애임이 시사됐다.
한편
고도 산업사회로 들어서면서 사고의 급증, 인구의 노령화, 약물의 남용 등으로 각종 대뇌손상환자들이 늘고 있어 신경정신의학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먼저 대뇌손상으로 인한 정신장애를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다는 것을 입증할만한 증상들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윤리적 판단에도 장애
한편
과학자들은 의식적인 인식은 완전하지만 잠재의식이 손상된 환자의 증상도 찾아냈다. 아이오와대학의 연구팀은 최근 뇌관계의 학술전문지에 기고한 글을 통해 종양제거시에 뇌손상을 입은 한 중년남성의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다. 그러나 환자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이 더 중요한 전파경로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한편
감기는 지역적으로 고립된 곳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주민이 그 지역에 흔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지역에서도 외부인이 내왕하기 시작하면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