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5월, 자연을 닮은 과학상품 베스트 4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곤충은 궁합이 안 맞아 보인다. 그러나 금속으로 만든 곤충은 인류의 미래에 큰 도움을
줄
전망이다. 유럽 3대 로봇연구소 중 하나인 이탈리아 성안나고등과학원에서는 메뚜기를 닮은 캡슐내시경로봇을 개발 중이다. 이 로봇은 입을 통해 몸속으로 들어가 건강 상태를 촬영한 뒤 배설물과 함께 ... ...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있으면 플라스마가 만든 전파를 음파로 바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번개의 번쩍이는
줄
기는 자연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플라스마다. 구름과 지표면사이에 전압차가 커지면 전자가 순간적으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이루는 분자들을 이온화시킨다.이 과정에서 플라스마에 진동이 발생하면 수백~ ... ...
죽음을 부르는 마른 몸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걸렸다. 갑작스레 환경이 바뀌며 부쩍 외로워졌고, 주위는 예쁜 친구로 가득해 자신감도
줄
었다. 키 164cm, 몸무게 56kg(체질량지수 20.8)의 정상 체격이었지만 스스로 너무 뚱뚱하다는 생각에 밥을 굶으며 47kg(체질량지수 17.5)까지 살을 뺐다. 곧 생리가 멈췄고 결국 혜주는 엄마 손에 이끌려 병원을 ... ...
왕따 없는 학교를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친구들은 특히 신경 써서 읽어 보자. 혜민 양의 방법이 왕따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 안녕?난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중학교 2학년 때까지 왕따를 당했어. 무려 7년이라는 긴 시간이었지. 나는 단지 선생님과 이야기를 잘 나누고 수업시간에 발표를 열심히 했을 ... ...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지적하시려고 절 부르셨어요?”감박사가 CD를 바꿔 끼며 되물었다.“대통령님 별명이 뭔
줄
아나?”내가 치료하는 노인들 별명도 기억하기 바쁘다.“여럿 있지만 문장형 하나와 단어형 하나가 제법 유명하지.”감박사는 대화도 문어체로 한다. 문장이면 문장이지 형은 무슨 형. 수수께끼는 내 체질에 ... ...
'과학'과 '쇼핑몰'의 환상궁합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괴로운 부모라면 동아사이언스 쇼핑몰(shop.dongaScience.com)에 가 보자. 과학을 선물해
줄
수 있다. 보너스로 과학에 대한‘흥미’도 따라간다.번뜩이는 창의력 선물 ‘과학상자’어린 시절 가장 갖고 싶었던 과학완구가 무엇인지 기억해보자. 두말할 필요도 없이‘과학상자’다. 창의력을 발휘해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진동적인 자극을 받아서 더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현상 기타의
줄
을 튕기면 그
줄
의 진동으로 생긴 음이 기타의 몸체로 들어가 진동함으로써, 우리 귀에는 원래 소리보다 더 크게 들린다 이 경우도 공명의 한 예이다 그래서 기타의 몸체를 울림통 또는 공명통이라고 하는 것이다 물론 공명은 소리의 ... ...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있던 장 교수에게 열렬한 기립박수를 보냈다. 국제적인 중력렌즈연구의 변방에만 있는
줄
알았던 우리나라 천문학 위상이 인정받는 순간이었다.작은 행성 찾는 훌륭한 길잡이미시중력렌즈 현상은 비교적 작은 외계행성을 찾는데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한다. 중력렌즈현상이 일어날 때 렌즈 역할을 ... ...
30초만에 30층 오르게 도와주는 로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작업부하 조건은 벨트바닥의 이동속도를 바꾼다거나 바닥의 경사를 바꿈으로써 변화를
줄
수 있다바이페닐의 염소화체이다 물에는 녹지 않지만 기름이나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어서 안정하며 내열성·전기절연성이 좋아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PCB는 ... ...
PART1 미국과 유럽, 행성탐색전쟁 선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기록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외계생명체의 존재는 인류의 사상과 문화에도 큰 충격을
줄
것이다.1995년 스위스 제네바천문대의 과학자들이 ‘페가수스자리 51번별’(51 Pegasi) 주변에서 외계행성을 최초로 발견한 뒤 천문학자들은 태양계 밖에서 200개가 넘는 행성을 찾아냈다. 매달 평균 1~2개꼴로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