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쇼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것을 살 확률은 커질 수밖에 없다. 그 물건을 카트에 던져 놓고 손님은 계산대쪽 선반
끝
에 다가온다. 이쯤에서 바로 옆 선반의 맛있는 초콜릿이 눈에 뜨인다. 그걸 한번 자세히 보려고 카트의 방향을 180도 틀면 이제는 경사가 낮아지는 방향이다. 쇼핑카트는 저절로 다시 계산대에서 멀어지는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모습도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뱀들은 구렁이와 같이 작게
끝
을 날름거린다. 또 외국의 방울뱀 같은 종류는 머리 위에서 턱 아래쪽으로 크게 아래위로 흔든다.자식 사랑 끔찍한 비단구렁이뱀은 냉혈동물(체온이 일정치 않고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하는 동물, ... ...
12억원 상금 걸린 지뢰찾기 게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대부분에 깔려있는 유명한 지뢰찾기 게임. 지뢰가 터질 때 낭패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끝
까지 지뢰를 다 찾아냈을 때 성취감을 맛보는 게임이다. 이런 게임 속에 12억원이 숨어있다니…. 그 내막을 살펴보자.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소재 클레이 수학연구소에서 7대 수학난제를 해결하는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밤하늘을 수놓는 많은 별은 아주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커다란 망원경을 쓰더라도 바늘
끝
같은 점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현재로선 우리와 가장 가까운 별, 태양만이 그 표면에서 일어나는 흥미진진한 모습을 잘 들여다볼 수 있는 별이다.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 가운데 가장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 다음 소행성을 발견하는데는 시간이 좀더 걸렸다. 칼 헹크가 15년 동안 찾아 헤맨
끝
에 1845년 다섯번째 소행성을 만났다. 이렇게 발견되기 시작한 소행성들은 이후 가속적으로 발견돼 1890년이 되자 개수가 3백개를 넘었다.한편 티티우스-보데 법칙은 점차 힘을 잃어갔다.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의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길을 돌아 백두산의 서쪽 능선을 넘으면, 지금까지 보지 못한 광경이 펼쳐있다.
끝
없이 펼쳐진 침엽수림대 저 멀리 내두산이 보이고 온 천지가 밀림으로 지평선에 닿아 있다.차는 한참을 굽이돌아야 천지 바로 아래에 도착한다. 천지는 구름에 싸여 자신의 모습을 쉽게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폭포 ... ...
4. 번개의 신 제우스 동상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피디아스는 그리스가 배출한 최고의 조각가로 자리매김했다.피디아스는 8년여의 작업
끝
에 기원전 4백47년 제우스상을 완성했다. 이것이 파르테논 신전의 아테나 여신상과 함께 피디아스의 2대 걸작품으로 꼽힌다. 제우스 신상도 아테나 여신상과 마찬가지로 크리세레환틴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다. 1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교각 사이의 거리(경간)를 크게 할 수 있는 기술이 핵심이다. 보통 다리의 규모는 시작과
끝
지지구조까지의 전체길이를 말하지만, 공학적 측면에서는 경간이 훨씬 중요한 개념으로 다리를 건설한 기술수준을 상징한다.경간을 길게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다리로는 현수교와 사장교가 있다. 현수교는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성공했지만 옥수수 재배농을 설득하기는 쉽지가 않았다. 결국 우여곡절을 겪은
끝
에 약 1천3백만달러의 재원이 벼 게놈프로젝트에 인색하게 투자됐다. 현재 미국은 옥수수 게놈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옥수수에서 돌연변이체을 만들고 관련 유전자를 분석하는 등 기초 다지기 작업을 하고 있다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소음공명현상이 주기적인 빙하기 도래의 결정적 원인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쟁이
끝
나지 않았지만, 소음공명현상 자체는 그후 이론적으로 탄탄히 정립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적으로 재현되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 각광받기 시작했다.뇌기능에 필수적인 노이즈소음공명현상이 가장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