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조
조직
조립
기구
구상
합성
조성
뉴스
"
구성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심각한 편두통, 효과적인 치료 가능해질까
연합뉴스
l
2020.06.26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논문 = 편두통 환자의 대상엽 뉴런을 형태론적으로 재
구성
한 이미지. [취리히대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편두통은 심신을 무력하게 하는 심각한 질병 가운데 하나다. 7명 중 1명꼴(스위스 기준)로 편두통 환자가 생기지만 이렇다 할 치료법은 아직 개발된 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통에 잉크 한 방울을 떨어뜨리면 시간이 한참 지난 뒤 전체 물이 흐려진다. 이는 잉크를
구성
하는 분자가 물통 전체에 골고루 퍼지기 때문이다. 잉크 분자들이 조그만 잉크 방울 속에 몰려 있을 경우의 수와 넓은 물통에 골고루 퍼져 있을 경우의 수를 따져 보면 엄밀하게 계산해 보지 않더라도 ... ...
'어느 가위가 잘 들까' IBS 유전자가위 13종 추천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정한 DNA의 특정 염기서열 정보를 지닌 가이드RNA와 염기서열을 자르는 절단효소로
구성
된다. 절단효소로는 사람 몸에 자주 침입하는 세균인 화농성 연쇄상구균에서 가져온 ‘SpCas9’ 절단효소가 가장 널리 쓰인다. SpCas9은 염기 절단 효율이 좋지만 표적 이외의 지점을 잘라내는 표적이탈이 빈번히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중성자별이 되고 5배 이상인 경우는 블랙홀이 된다고 알려져 왔다. 중성자별은 핵을
구성
하는 원자의 핵과 전자는 합쳐져 중성자가 된 천체로, 이 중성자가 서울 크기보다 작은 지름 10~20km의 공 안에 초고밀도로 압축된다. 태양 두 개가 도시 하나 크기로 압축되는 셈이다. 현재 관측을 통해 확인된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경제활력 회복을 위한 클라우드 전략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UCAIug가 인정하는 IEC 61850 통신 적합성 7대 시험분야 중 하나로 디지털변전소의 핵심
구성
요소인 지능형 전력기기 간 상호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GOOSE 메시지’의 전송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미취업 박사의 취업·창업 실전역량 강화를 위해 ‘스타 액츄얼리 ... ...
"우리의 실패는 '집단면역' 아니라 어르신들 보호 못한 것" 스웨덴에서 배우는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사회
구성
원들 다수가 면역력을 갖는 방법이 있다. 다수의 사회
구성
원들이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가지면 그만큼 바이러스가 확산될 틈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후 집단면역이 자주 언급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다. 스웨덴은 이런 집단면역을 통해 코로나19 종식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 이후의 교양 교육
2020.06.24
시작된 상상이었을 뿐이다. 118종의 원소가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고, 쿼크와 보손으로
구성
된 표준모형이 실험으로 확인된 세상을 살아가야 할 학생들에게 과거의 낡은 세계관을 강요할 수는 없는 일이다. 세계관이 변화하면서 고전(classics)이나 정전(canon)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과 주석도 설득력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K진단'과 과학자들의 연대
2020.06.24
설계하고, 제작된 프라이머를 검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중 18~20개로
구성
된 염기서열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상보 서열을 갖고 있어야 특이적 결합이 가능하다. 프라이머 설계가 잘 돼야 피고가 숨겨둔 증거를 증폭시켜 유죄를 입증할 수 있다. 증폭은 cDNA에 열을 가해 DNA의 이중나선을 ... ...
[인간·공감·AI]④ 눈에 안 띄는 교통 표지판 AI로 퇴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인식하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도구를 개발 중이다. 그는 “공공시설물과 안내표지의
구성
요소와 사람, 공간의 맥락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해석하는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4일 찾은 광주 북구 GIST 캠퍼스내 다산빌딩에서는 김 교수팀이 개발중인 표지판 평가 도구를 조금 체험할 수 ... ...
[영상+]의료진 대신해 검체 채취하는 로봇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로봇은 의료진이 조작하는 ‘마스터 장치’와 환자가 접촉하는 ‘슬레이브 로봇’으로
구성
됐다. 마스터 장치를 움직이면 코와 입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일회용 면봉을 장착한 슬레이브 로봇이 그대로 따라 움직인다. 의료진은 로봇을 움직여 면봉을 원하는 부위에 넣어 검체를 얻을 수 있다. 환자와 ... ...
이전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