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4,9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간편요리 허니버터칩, 직접 만들어보니...
2015.01.30
상식을 뒤엎는 달콤한 감자칩, 바로 허니버터칩의 탄생이었다. 어린이과학동아 1월 15
일자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오가희 기자 ● 허니버터칩 인기의 비밀 ① 단맛-쓴맛-짠맛의 과학 달달한 감자칩. 그냥 감자칩에 꿀만 넣으면 되지 않을까? 하지만 허니버터칩을 개발한 정명교 ... ...
호주 아시안컵 우승, 생체시계에 달렸다
2015.01.30
따라 최대 26%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29
일자
에 발표했다. 브랜드스태터 박사는 “경기력에서 1% 차이는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가령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육상 100m에서 2등과 4등이 뒤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당시 2등은 9.8 ... ...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
과학동아
l
2015.01.29
pixabay 제공 인류가 처음으로 무언가를 끄적끄적 그린 것은 언제부터일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시절이던 50만 년 전부터 낙서 수준의 그림을 ... 파악할 수 없다면, 그걸 예술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12월 3
일자
에 실렸다 ... ...
난치병 ‘중풍’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었다
2015.01.28
이 연구결과는 임상신경학 분야의 권위지 ‘애널스 오브 뉴롤로지(Annals of Neurology)’5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 개발로 연결하기 위해 최근 국내 특허 역시 출원했다. 연구팀이 발표한 저해제 사용 효능. 저해제를 사용하지 않은 좌측 사진은 뇌신경 ... ...
사이코패스 뇌는 처벌 인식 못해
2015.01.28
싸이코패스의 전형인 조커. - 워너브라더스 제공 캐나다 연구진이 사이코패스 범죄자들의 뇌에서 체벌을 통해 학습하는 부위가 망가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랜싯 정신의학’ 28
일자
에 게재됐다. ... ...
다시 젊어지는 ‘벤자민 버튼 세포’ 만들었다
2015.01.27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주인공 벤자민 버튼은 다른 사람과 달리 세월이 지날수록 점점 어려진다. 벤자민 버튼 역을 맡은 브래드 피트는 영화 초반 노인의 ... 더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실험생물학연합학회(FASEB)’지 23
일자
에 실렸다. ... ...
열역학에서 100년 이상 찾던 물리량 드디어 발견
2015.01.27
물리학에서 계속 변화하는 상태를 ‘비평형상태’라고 한다. 상태가 안정적인 ‘평형상태’와 달리 비평형상태에서는 확률 분포를 결정하는 물리량이 밝혀지지 않았다. 물리 ...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17
일자
에 실렸다. ... ...
‘감칠맛’ 잃으면 건강 잃는다
2015.01.26
떨어지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풍미(Flavour)’ 26
일자
에 게재했다. 사실 감칠맛을 내는 대표적인 물질인 ‘MSG(글루탐산나트륨)’는 인체에 유해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논란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MSG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이며 우리 몸이 MSG를 ... ...
블록은 이런 데도 쓸 수 있답니다
2015.01.26
노는 블록처럼 합성한 뒤 이를 짜 맞춰 분리막을 완성하는 기술을 개발해 ‘ACS 나노’ 5
일자
에 발표했다. 이 방법을 쓰면 분리막의 두께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고 표면의 거칠기와 표면의 화학구조를 균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단위구조인 블록의 모양을 바꾸면 다양한 화학구조를 갖는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여 개가 작동하면서 미묘한 표정변화까지 만들어낼 수 있다. ‘사이언스’ 2014년 10월 10
일자
에는 소셜로봇을 특집으로 다뤘다. 안드로이드 제작으로 유명해진 로봇공학자 이시구로 히로시 박사(위)와 그의 도플갱어 제미노이드 HI. - 사이언스 제공 특집에서 데니스 노밀이라는 작가가 일본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