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얼굴, AI가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4.01.27
위 10개 얼굴 중 무엇이 진짜 사람의 얼굴일지 추측해보자. 답은 본문 마지막에 있다. Psychological Science 제공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이제 AI로 ...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답공개.
과학
동아 제공 ※관련기사
과학
동아 1월호, [
과학
뉴스] 인공지능이 만든 얼굴 진짜보다 더 진짜 ... ...
[표지로 읽는
과학
]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고규영 KAIST 의
과학
대학원 특훈교수가 이끄는 기초
과학
연구원(IBS) 혈관연구단은 비인두 점막의 림프관들이 서로 정교하게 연결된 림프관망 구조로 형성되어 뇌 안쪽과 바깥쪽 림프관을 연결해 뇌척수액을 배출하는 일종의 '허브'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1 ... ...
[잠깐
과학
] 흔들면 열나는 핫팩 속 물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7
핫팩을 오래 쥐고 있으면 손에서 쇳내가 나기도 하는 이유입니다. ※관련기사 어린이
과학
동아 1월 15일,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 ... ...
"세포 내 단백질 조절해 뼈·치아 재생 촉진"
연합뉴스
l
2024.01.26
연세대 치과대학 김도현 교수와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김진만 교수·박소영 연구원, 차의
과학
대 이순철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진은 세포막에 존재하며 세포 밖의 호르몬 신호를 안으로 전달하는 단백질 수용체인 'GPCR(G단백질 연결 수용체)'을 조절해 뼈·치아 등 ... ...
[사이언스게시판] 조성경 1차관, 美
과학
기술계 주요인사와 전략 기술 협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5~6월에 열릴 혁신적 R&D 정책 교류에 관한 공동 워크숍에 대해 협의했다. 카렌 마론젤 국립
과학
재단(NSF) 최고운영책임자와 만난 자리에서는 미국 이공계 학생을 지원하는 IRES 프로그램 등 양국 간 학생 연구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 ...
[인사]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국장급 승진 및 파견 △디지털플랫폼정부추진단 파견 김민표 △국립외교원 교육파견 박태완 ...
'생애 단 3주' 잠까지 줄이며 교미하는 작은 포유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경쟁이 진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이론이다. 폴-안토인 리보렐 프랑스 리옹 신경
과학
연구센터 생태생리학자는 이번 연구에 대해 "동물이 종의 생존과 더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행위와 수면 행위를 두고 거래한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 ...
"한국 위성 달에 보내주겠다" 美 제안에 예산 없다며 거절한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협력에 참여할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최근
과학
기자단 대상 간담회에서 "아르테미스 계획 참여 논의를 시작한 게 2017년부터였지만 아직 별다른 계획이 없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우주 선진국들과의 협력 성과에도 관심이 ... ...
손 글씨, 타이핑보다 기억력 향상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정확하게 익히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드리 반 데르 미르 노르웨이
과학
기술대 신경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손글씨가 타이핑보다 뇌의 연결성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담은 논문을 26일 국제학술지 ‘심리학 프론티어’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손글씨를 쓸 때와 타이핑을 칠 때 ... ...
선거의 계절 딥페이크 판별 등 AI가 불러온 혁신의 물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효과 등을 밝히는 연구다. 미시 세계에 대한 탐구는 현미경 분야에서도 진행 중이다.
과학
자들은 세포를 분자 수준에서 관찰하는 데 성공했고 이제 원자 단위 세계를 들여다보는 방법을 찾고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 생화학연구소가 개발한 원자 크기 해상도로 단백질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에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