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으면서 댓글이라는 형태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매체
활동
에 참여할 수 있다. 때문에 사람들의 참여욕구를 ‘즉각적’으로 충족시켜주는 유용한 수단이 된다.온라인 게시판이나 토론방에 자신이 올린 메시지는 오랜 기간 유지되고 많은 사람들이 보기 때문에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과 단체, 기업의 피해 복구 성금이나 자원봉사자의
활동
과 같은 많은 사람들의 따뜻한 손길로 피해는 더욱 빠르게 복구되고 있습니다.빠른 피해 복구도 중요하지만 폭설이나 태풍, 지진 등 다양한 자연 재해에 미리 대비해 피해를 줄이려는 노력도 계속되어야 합니다.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섭취가 가능하다는 것이다.최근 미국에서는 당을 많이 먹는 사람들이 신체적으로 더
활동
적이어서 오히려 비만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한국에서도 당 섭취가 유해하다는 의견은 많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섭취하는 각종 당의 섭취량을 아직 정확히 규명하지 못해 연구결과가 과학적으로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번째 펄스를 바로 뒤이어 보내 이 분자가 흡수하거나 방출, 산란하는 빛을 측정해 분자의
활동
을 초고속으로 촬영한다.1초 동안 찍을 수 있는 필름의 수가 늘어날수록 순간을 더 잘게 쪼개 엿가락처럼 길게 늘여서 볼 수 있듯이 초고속 레이저 분광기의 레이저 펄스가 짧을수록 분자의 운동이나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구의의 중심에 두고 경위선을 투시하여 전개한 도법이다 일조시간이 짧은 계절에 번식
활동
이 활발한 동물 면양 · 산양 등이 이에 해당한다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동물의 광주기성(光週期性) 때문이며 연간 일조시간의 길고 짧음이 뇌하수체의 생식선(生殖腺)자극호르몬의 분비와 난소의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때문에 개는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적록색맹이다.니츠 박사는 “주로 밤에
활동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포유류는 색채보다 명암 구별이 생존에 더 중요했고, 그 결과 진화과정에서 빛의 세기에 민감하지만 색깔을 구별할 수 없는 간상세포가 원추세포보다 더 많아졌다”고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소속 무카이 치아기와 도이 다카오도 많은 임무를 수행했다. 무카이 치아기는 주로 PS로
활동
하며 1994년과 1998년, 컬럼비아호에 탑승하여 우주생리학, 방사성생물학 관련 미소중력실험에 참가했다. 도이 다카오 역시 PS로 선정되어 스페이스랩-J에 참여했다. 하지만 1986년 1월 28일 챌린저호 폭발사고로 ... ...
황금보다 귀한 감람석 품은 현무암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먹은 것 마냥 구멍이 숭숭 뚫려있는 현무암이다. 규암이 주를 이루는 백령도에 화산
활동
으로 생긴 현무암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하늬바다의 현무암은 460만년 전 용암이 분출한 것으로 250만~ 150만년 전 생성된 제주도와 울릉도의 현무암보다 ‘형’뻘이다. 용암 ... ...
PART2 GEOSS 꾸려 수시로 지구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등 12개에 걸쳐 GEOSS 관측분야를 선정했다. 9월에는 기상청에 GEO 한국사무국을 열고 GEOSS
활동
에 들어갈 준비를 시작했다. 계획대로라면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GEOSS가 가동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미 이웃나라 일본은 지난해 초 일본을 먹여 살릴 미래 10대 국가 기간 기술의 하나로 지구 규모의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박사 학위를 받은 김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물학과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
하면서 전공 영역을 넓힐 수 있었다.“물리학과의 한 콜로퀴엄에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저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의 흥미로운 강연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가 저술한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