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그런 한계를 감안하고서도 기존의 EST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한 유전자 수와는 너무나
차이
가 크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EST 유전자 수 측정 방법 역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 예로 동일한 유전자가 몇 개의 EST로 나타난다면 유전자 수는 급증할 수밖에 없다.인간게놈의 염기서열이 거의 다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있는 북한과, 초고속통신망을 구축하며 정보화 사회를 추진해가는 남한은 서로 많은
차이
를 가진다. 즉 정보통신 격차가 점점 더 심화되고 있어서 이런 상태로 통일이 된다면 결국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한국을 방문한 독일의 한 통신 기술자는 “독일은 통일 전에 정보통신 분야에서 ... ...
국경과 시간을 초월하는 인터넷 방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아니지만, 용기와 약간의 비용만 있다면 누구나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바로 이러한
차이
점으로 인터넷을 통한 방송이 밀레니엄 시대에 주목받는 대표적인 분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인터넷 방송의 등장으로 단순한 정보 전달 위주 네트워크 개념의 인터넷이 이제는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로까지 ... ...
모차르트 음악이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음 높이를 숫자로 표시했다. 이렇게 얻은 연속적인 숫자의 앞뒤
차이
값의 데이터에 대한 파워스펙트럼을 그려보았다. 보스와 클라크 박사는 음의 높낮이 분포보다는 음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이들은 음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3%로 더 늘어난다. 그렇다면 유전자 DNA를 뺀 나머지 게놈 대부분이 반복체이므로, 이
차이
가 사람과 침팬지를 다르게 만든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지금까지 생물학자들은 이제껏 DNA에 대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자 기능만을 중심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생물 진화를 게놈의 진화와 ... ...
① 기상 : 날씨 첫 교신 '쾌청'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강수량이 1천8백mm 이상이었으나 북한의 자료에 따르면 1천4백mm 이상으로 나타나 4백mm나
차이
가 났다.사실 남북한의 교류가 활성화될수록 기상정보가 공유돼야 할 필요성은 커진다. 우선 북한 영공을 비행하는 민항기는 안전한 비행을 위해 항로상의 기상정보가 필요하다. 또 안전한 금강산 관광을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북에서는 흰두루미로 부르고 있다(표 참조).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남북한간 용어의
차이
가 교류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생물명 통일작업이 먼저 이뤄지고 있다. 현재 포유류와 조류의 생물명을 검토해서 이들에 대한 표기 기준을 마련중이다. 그 기준으로 제안된 것은 생물의 특징이 잘 ... ...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보안성이 비슷한 리눅스는 무료인데 비해, 몇가지를 제외하고는 성능에서 별다른
차이
가 없는 윈도는 몇십만원이나 된다. 윈도가 독점체제이기 때문에 높게 가격을 선정하더라도 선택의 여지나 다른 대안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따라서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경쟁 운영체제가 절실히 필요하게 ... ...
잘못된 머피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족보의 우열
차이
는 있지만 확률은 동일한 경우가 더 많이 존재한다. 포커에서 우열의
차이
를 보이는 에이스원페어와 투원페어는 같은 원페어로 동일하게 약 3%의 확률을 가진다. 총 13가지 원페어를 더하면 각자 개인별로 원페어가 나올 확률은 42%가 된다. 아무것도 안될 확률은 50%이다(표2 참조). ... ...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논리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는 게 사실이다. 인간배아복제와 인간복제의 개념
차이
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더욱이 동물복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입장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생명공학의 성과는 우리에게 끊임없이 ‘선택’을 요구한다. 유전자조작식품을 먹어야 할 것인가. 복제술을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