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세계"(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과학동아 l1986년 12호
- 한강은 유역면적으로는 압록강 다음가는 큰 하천이며 유로연장으로는 압록강 두만강 낙동강에 이어 4번째로 긴 강이다.한강(漢江)은 한마디로 한반도의 거대한 젖줄이다. 우리가 먹고 마시며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식수와 생활용수의 공급원이자, 농사를 짓고 산업시설을 가동시키는데 ... ...
- PART1 DNA의 구조와 복제 생명을 지배하는 이중나선구조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신만이 알 수 있었던 생명의 신비가 DNA연구로 밝혀지고 있다. 이중나선구조의 본질을 알아본다.세계의 인구가 50억인데 비해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수는 60조개의 달한다. 이 막대한 숫자의 세포가 서로 형태나 기능이 다르면서도 긴밀하게 협력하여 인간이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것은, 이들이 공 ...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과학동아 l1986년 12호
- 200억t 한꺼번에 쏟아져도 막아낼 수 있는 댐건설 후보지 2~3곳금강산댐에 대항할 대응댐의 건설적지가 발견돼 비상한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2백억t이라는 가공할 규모의 저수용량을 보유한 북한의 금강산댐이 유사시 대남공격무기화할 가능성을 놓고 우려하던 상황에서 구체적인 대응책이 마련 ... ...
- 디지탈 신호란 어떤 것인가과학동아 l1986년 12호
- 모든 전자제품, 컴퓨터에서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탈 신호를 바뀌고 있다. 디지탈 신호의 원리와 효용은 어떤 것일까.현대사회를 정보화사회라 말한다. 사회생활의 향상, 경제사회의 고도화 복잡화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의 양은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연일 쏟아지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발견하여 ... ...
- 물질세계⑥ 소립자와 우주의 계층구조 우주는 대칭이다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순간적으로 탄생과 소멸을 되풀이 하는 소립자는 물질세계의 신비를 더해준다.지난 호에서는 원자핵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핵속에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중간자에 의하여 묶여있으며, 이 원자핵을 파괴할때 수 백 종류의 새로운 소립자가 나온다. 이들 소립자를 만들고 있는 ... ...
- 베르너 폰 브라운과학동아 l1986년 12호
- 독일에서 공포의 V-2 개발 미국에서 달착륙 아폴로 11호 성공시켜"이러다가는 우리 모두가 소련군에 끌려가 시베리아에서 죽고만다. 어떻게 하면 좋겠나?" "…………"미국이냐 소련이냐1945년1월도 저무는 어느날, 독일의 패전이 거의 확실시되는 정세를 눈앞에 보면서 그 유명한 V-2 로케트를 생산, ... ...
- 컴퓨터 경비 시스템 시공을 초월한 전자 전쟁과학동아 l1986년 12호
- "텔리스크린은 수신과 송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윈스톤' (소설의 주인공)이 내는 어떤 낮은 소리도 그것이 아주 작은 속삭임이 아닌 이상 텔리스크린은 전부 포착했다. 뿐만아니라 금속판의 시야의 들어가기만 하면 소리와 매 한가지로 모습도 보이게 된다.물론 자기가 언제 감시 당하고 ... ...
- 세계의 대사막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지구상의 육지의 약30%를 차지하는 모래의 바다는 삶을 허용하지 않는 죽음의 세계. 그러나그곳에는 너무나 아름다운…!사막은 어떤 곳에 있는가?사막이란 비가 적고 일사량이 강하기 때문에 증발량이 강수량을 웃돌아 대지가 건조해지고 생물이 생존하기 어려운 불모의 땅이 되어버린 지대다.이것 ... ...
- PART1 내일의 TV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손목시계TV에서 40인치가 넘는 초대형 TV가 곧 등장한다. 또 고품위의 TV는 정보화사회의 주역으로 각광받을 것이다. 새로운 TV의 기능과 테크놀로지는 어떤 것일까.TV화면이 1인치에 불과한 경우를 상상해보자. 이쯤되면 손목시계처럼 TV를 차고 다닐 수도 있을 것이고, 책상앞에 벽걸이TV로 꾸밀 수도 ... ...
- 소립자가 소용돌이 친다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지난번에는 원자의 세계를 지배하는 ‘양자역학’이란 새로운 이론을 알아보았다. 그 이론의 특징은 원자 속의 전자가 운동을 할 때 그 운동량 P=mv(여기서 m은 전자의 질량이고 v는 속도이다)와 위치 X를 정확히 아는 것이 아니라, P와 X값의 확률이 주어지고 P와 X의 불확실성인 △P와 △X의 곱은 △X· ... ...
이전409410411412413414415416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