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중요 목적은 스스로의 위치를 구하는 것과 목표물과의 충돌을 피하는 것이다 물체가
실제
로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실재하는 것처럼 레이더상에 나타나는 상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할 때의 유도장치 먼저 탐지레이더로 적기를 포착하고 추적레이더로 뒤쫓으면서 전자계산장치로 적기의 미래위치를 ... ...
사자자리 별똥별 쇼 올해가 마지막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직접 사자자리 유성우의 포효를 목격했다. 자신이 정립한 과학이론에 따른 예측이
실제
로 적중하는 순간, 그의 가슴은 얼마나 뜨거워졌을까. 과학자들만이 느끼는 최고의 희열이 아니었을까.보름달이 최고 훼방꾼애셔 박사의 예측에 따르면 올해에도 여전히 사자자리 유성우는 빛을 발할 것으로 ... ...
기술자도 노벨상 받는 시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나타나는 학력 파괴 현상에 대해 포항공대 임경순 교수는 “겉으로 보이는 현상일 뿐,
실제
로는 실험방법이나 장치를 개발한 기능인이나 기술자에게 최근 들어 노벨상을 자주 수여하는 경향에서 나타난 단면”이라고 설명한다. 과거에는 획기적인 실험결과를 낸 과학자에게 주로 노벨상이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이에 비해 X선 결정학은 단백질을 일단 결정(크리스탈) 상태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모습과는 약간의 차이가 날 수 있다.단백질이든 DNA이든, 모든 분자는 원자로 이뤄져 있다. 원자는 전자와 핵으로 구성되는데, NMR은 핵으로부터의 신호를 포착해 분석하는 기술이다. 핵은 보통 상태에서는 ... ...
올해의 Ig 노벨상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해부학적으로 정교한 1백7개의 조각상을 조사한 결과 역사학자들의 말대로였다. 그러나
실제
남성은 대부분 오른쪽 음낭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1976년 ‘네이처’에 발표됐다.한편 인도 케랄라 농대의 카노스 스리쿠마르 교수는 코끼리의 신체 일부만을 측정해 몸 전체의 표면적을 계산할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TPMT, Cytochrome P450 등에서 SNP를 발굴하고 그 기능을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
임상에서 유전자를 분석한 후 약물의 적정량을 결정하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가 국내에서도 시작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한편 국립보건원 유전체연구소의 김규찬 박사팀은 한국인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않는 상태 우주비행체 속의 물체는 무중량(無重量) 상태에 있어 무중력 상태인 것 같으나
실제
로는 중력이 작용하고 있다지구에 대해 정지하고 있는 물체의 중력과 중량은 같은 뜻이 된다그러나 지상에서 자유낙하하는 용기 속에서는 중력과 중량이 일치하지 않는다흔히 무중량 상태를 무중력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사회가 점점 복잡해지고, 특히 과학이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돼 발달함에 따라 이 규범은
실제
과학자의 행동을 설명하지 못하게 됐다. 특히 무사무욕의 항목은 여러가지 예외가 생기기 시작했다. 김교수는 “쇤의 경우도 무사무욕의 관점에서 예외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쇤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 ...
말미잘 닮은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sea anemone)의 이름을 딴 ‘퍼블릭 아네모네’로 명명됐으며, 바다처럼 꾸민 수족관 속에서
실제
말미잘처럼 빛과 접촉에 대해 반응을 보였다.연구팀의 일원인 MIT 미디어랩의 신시아 브리질 교수는 “로봇이라고 해서 반드시 딱딱하고 기계적일 이유는 없다”면서 “퍼블릭 아네모네는 구불구불한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생성의 주원인인 땅속 미생물과 식물 뿌리의 호흡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는
실제
적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예측과 조절은 불완전하다.그런데 일부 식물생리학자들은 실험실 조건 하에서 이뤄진 실험을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식물의 광합성량이 증가하고(30% 정도) 식물의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