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탓 남성 유방암 증가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런 남성 유방암 증가가 과체중, 비만과 관련 있다는 연구를 ‘BMC 의학’ 6월 4일자에
발표
했다.스피어 교수는 지방 세포에 들어있는 효소가 남성 호르몬(테스토스테론)을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으로 바꾼다고 지적했다. 실험 결과 체질량 지수(BMI)가 25 이상인 남성은 혈중 여성호르몬 농도가 ... ...
아내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후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면역 세포 중 수지상세포 연구 경험을 쌓았다.도 교수가 이번에
발표
한 논문 역시 수지상세포와 관련된 분야다. 연구팀은 수지상세포의 한 종류가 또다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바꾸는 과정을 발견했다. Tfh세포는 기억면역을 책임지는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연구관은 1994년 당시 초과사망자가 3384명에 달했을 것이라는 논문을 2009년
발표
했다. 초과사망자는 폭염의 영향을 받아 간접적으로 죽은 사람 수다. 평소 심혈관계 질환 등 지병(기저질환)을 앓고 있던 환자들이 죽은 사례가 대표적이다.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작년 7월 발간한 보고서에 서 극심한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어떤 작용을 하는지 확인하는 화학도구를 개발해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
했다.알츠하이머의 원인 찾는 똑똑한 물질알츠하이머를 앓는 사람의 뇌를 관찰하면 베타 아밀로이드가 많이 발견된다. 이 단백질이 머리 속의 지우개인 셈이다. 연구자들은 뇌 속에 있는 구리나 아연 같은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외식 중 나트륨 함량이 많은 음식을
발표
했다. 1위는 짬뽕이다. 하루 권장 섭취량의 2배인 4000mg이 들어 있다. 그런데 간장게장이나 김치우동, 육개장에 나트륨이 많은 건 이해하겠는데, 우동이나 열무냉면, 기스면에 나트륨이 많다는 것은 의외다.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감정을 재평가하는 것이 긴장을 푸는 데 훨씬 효과적이다.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발표
를 하거나 수학시험을 보게 해 긴장도를 높였다. 그 뒤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에게는 ‘진정해야지’하고 스스로 되뇌게 했다. 다른 집단은 반대로 ‘나 지금 좀 신난 것 같아’라고 생각하게 했다. 실험 결과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수밖에 없었다. 네덜란드의 과학자 아드리안 캄퍼는 고생물학자였던 그의 아버지가
발표
한 논문들을 토대로 이 머리뼈의 주인이 거대한 파충류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글과 그림만으로는 연구를 자세히 할 수가 없었다.제대로 된 연구는 1820년대가 돼서야 이뤄질 수가 있었다. 운 좋게 이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최초의 연구 논문(‘18·19세기의 음식 취향과 미각에 관한 기록’)을 ‘동방학지’에
발표
한 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는 “효전 이후로 다양한 음식 맛을 적극적이고 세밀하게 드러낸 한문 기록이 급증한다”며 “금욕적이던 조선 사회가 욕망을 추구하고 소비를 과시하는 행태를 보이는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부지런하기로 소문난 개미 중에도 ‘격렬하게 아무것도 하기 싫은’ 베짱이 성격의 개미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애리조나대 대니얼 샤르본 박사팀은 개미 5개 ... 전쟁에 대비하는 군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결과는 ‘행동생태학 및 사회생물학’ 6월 21일자에
발표
됐다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맛을 평가하고 ‘시판 소주 제품들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라는 논문을
발표
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도수가 높은 S소주가 도수가 낮은 소주보다 오히려 알코올 맛과 향이 덜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도수가 높은) S소주는 인공적인 과일 향과 단맛이 다른 시료에 비해 높게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