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하이드록시메틸 시토신(5hmC)을 인간과 쥐의 뇌세포에서 발견해 2009년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50년 전에 박테리오파지에서 처음 발견됐지만 인간에서 발견된 것은 2009년이 처음이다. 2년 뒤에는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TET 단백질이 5mC를 산화시켜 5hmC를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다.아직까지 5hmC가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최초의 연구 논문(‘18·19세기의 음식 취향과 미각에 관한 기록’)을 ‘동방학지’에
발표
한 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는 “효전 이후로 다양한 음식 맛을 적극적이고 세밀하게 드러낸 한문 기록이 급증한다”며 “금욕적이던 조선 사회가 욕망을 추구하고 소비를 과시하는 행태를 보이는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부지런하기로 소문난 개미 중에도 ‘격렬하게 아무것도 하기 싫은’ 베짱이 성격의 개미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애리조나대 대니얼 샤르본 박사팀은 개미 5개 ... 전쟁에 대비하는 군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결과는 ‘행동생태학 및 사회생물학’ 6월 21일자에
발표
됐다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게임을 통해 밝혀진 150개의 신경세포 구조에 대한 연구 결과가 과학잡지 ‘네이처’에
발표
되기도 했어요. 승 교수는 쥐의 망막 신경세포 분석이 끝나면 사람 뇌의 연결 구조까지 아이와이어로 분석할 예정이랍니다. 거대한 기계로 만든 뇌지도많은 과학자들이 뇌를 연구하는 최종 목적은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개발했다. 그러면서 가장 유력한 잡음의 근원지도 알아 낼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논문
발표
에도 동료 천문학자는 물론, 과학계도 싸늘했다. 기존 천문학자들 중에는 잰스키의 논문과 주장의 진실 여부를 판단할 전문가가 없었기 때문이다.전파천문학 시대를 열다잰스키는 자신의 연구 내용을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뉴턴보다 발견은 늦었지만
발표
는 빨랐습니다. 1673~1675년에 ‘미적분학 기본정리’를
발표
했고 1684년에는 미분을, 1686년에는 적분을 발견했다고 세상에 알렸습니다. 반면 뉴턴은 1704년에 이르러서야 유율법을 사람들 앞에 선보였습니다.라이프니츠의 발견이 먼저 세상에 나오자, 원조 논쟁이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쓰레기 DNA라고 할지라도 80% 가량은 전사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30여 개 학술지에 연달아
발표
되면서 과학자들의 생각이 바뀌었다. 쓰레기 DNA가 정말 필요 없는 것이라면 굳이 전사를 할 필요가 없다. 현재는 간섭 RNA(siRNA) 등이 발견되면서 RNA가 DNA와 단백질의 중간자 역할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한다는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존재한다는 것 외에 다른 근거가 뚜렷하지 않다.송 : 지난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
된 연구가 힌트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미국 에모리대 연구팀은 수컷 쥐의 발바닥에 자극을 주면서 아몬드향을 맡게 했다. 3일 동안 하루 다섯 번씩 이것을 반복하자 쥐들은 충격을 받지 않을 때도 ... ...
아내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후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면역 세포 중 수지상세포 연구 경험을 쌓았다.도 교수가 이번에
발표
한 논문 역시 수지상세포와 관련된 분야다. 연구팀은 수지상세포의 한 종류가 또다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바꾸는 과정을 발견했다. Tfh세포는 기억면역을 책임지는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연구관은 1994년 당시 초과사망자가 3384명에 달했을 것이라는 논문을 2009년
발표
했다. 초과사망자는 폭염의 영향을 받아 간접적으로 죽은 사람 수다. 평소 심혈관계 질환 등 지병(기저질환)을 앓고 있던 환자들이 죽은 사례가 대표적이다.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작년 7월 발간한 보고서에 서 극심한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