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요리조리 쿡의 재료 감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그럴까?!끝을 막지 않은 채로 빨대를 감자에 찌르면 빨대가 구부러진다. 하지만 빨대의 끝을 손가락으로 막고 찌르면 빨대가 쉽게 감자 속을 뚫고 지나간다. 왜 그럴까.빨대를 막고 막지 않는 것의 차이는 빨대 안의 공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다. 즉 빨대를 막으면, 빨대 안에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빨간 전구로 비유해서 알아보자. 파란 전구와 빨간 전구를 종이를 자르는 가위의 양쪽 날 끝에 붙인다. 그리고 파란 전구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가위의 양쪽 날을 모으면 어떻게 될까. 그러면 회로가 형성돼 파란 전구의 에너지가 빨간 전구로 이동한다. 따라서 빨간 전구에서 나오는 붉은빛을 볼 ... ...
-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가장 짧은 하지를 가리킨다. 따라서 해의 그림자 길이가 달라지므로 그림자침의 끝을 읽으면 날짜를 알 수 있는 것이다.한편 지구의 자전으로 우리는 매일 해의 일주운동을 보는 셈이다. 따라서 해시계의 그림자 침을 일주권의 중심인 지구 자전축이 있는 천구의 북극으로 맞춰야 한다.그러기 위해 ...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없던 것이었다. 에로스 탐사계획은 지난 2월 14일로 마감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어차피 끝날 계획이고, 그동안 충분한 자료를 얻었기 때문에 도전적으로 나온 아이디어가 바로 표면에 착륙하자는 것이었다.물론 당초 생각은 착륙이 첫번째 목적이 아니었고, 소행성에 다가가면서 이전에 얻을 수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사실 때문에 다국적팀의 공개된 자료 덕분에 더 빨리 적은 비용을 들여 인간게놈해독을 끝낼 수 있었다는 루머가 나돌기도 한다. 어쨌건 벤터박사의 획기적인 연구방법과 진취적인 사업진행을 보면 인간게놈에 대한 그의 도전정신과 실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2001년 2월 12일에 있었던 셀레라의 ...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속에서 총을 쐈을 때 팀장이 분해되는 장면 등은 액자소설 같은 분위기를 연출해 영화를 끝내고 싶지 않은 감독의 의지가 아닐까요.성환_ 감독이 실사를 처음 찍은 것은 아니지만 자아도취적이고 말끔하지 않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스타일리쉬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너무 집착한 것 같아요 ...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더욱 깊이 침투해 보기 흉한 핑크빛 자국이 남을 것이 뻔했다. 앤디 워홀 미술관은 궁리 끝에 산소 원자 복원법 사례를 기억해내고 NASA에 도움을 요청했다.NASA는 ‘욕조’의 경우도 복원을 확신했다. 립스틱의 성분 역시 화재의 검댕과 마찬가지로 탄화수소이기 때문이다. 또다시 몇번의 모의실험을 ... ...
- 화성과 금성 나타내는 행성기호 ♂ · ♀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아레스의 알몸을 보고 무안해서 얼굴을 돌렸지만, 남신들은 아프로디테의 알몸을 보고 끝이 갈라진 목소리로 저마다 한마디씩 말합니다. 태양신 아폴론과 제우스의 전령신 헤르메스 사이에 다음과 같은 말이 오고갑니다.아폴론: 헤르메스, 자네는 헤파이스토스가 부러운가, 아레스가 부러운가 ...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가지고 게놈에 함유돼 있음을 시사한다.일반적으로 알려진 반복염기서열, 즉 염색체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텔로미어(telomere, 말단소립)와 염색체 중앙의 동원체(centromere) 부위에 존재하는 반복염기서열은 염색체보호나 세포분열이라는 특정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반복염기서열과는 구별되는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고생을 감수하는 것이죠”라면서 자신이 교수가 돼도 선생님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말끝을 흐린다.이상엽교수. 그는 자신의 일을 열정적으로 사랑한다. 어려운 일은 없다. 재미가 있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그 열정 뒤에는 냉혹한 자기 관리가 자리하고 있다. 연구실에 출근하고 30분, ‘오늘 무엇을 ... ...
이전409410411412413414415416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