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터"(으)로 총 4,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번주 토요일 제 친구가 와요. 이 친구는 정말 어릴 때(한1~2살)때 부터 친했던 친군데포스팅 l20150108
- 이번주 토요일 제 친구가 와요. 이 친구는 정말 어릴 때(한1~2살)때 부터 친했던 친군데, 제가 이사를 가서 일주일에 한 번 교회에서 만나요.(교회도 멀어서 못 다닐 것 같아요)그런 친구가 오는 날 저희는 같이 요리를 해 보자고 했어요. 그런데 무슨 요리를 해아 할까요? 댓글로 요리 이름이랑 방법까지 자세히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
- 로마제국의 도시 폼페이, 베수비오스 화산이 폭발하기 전 무슨 일이 있었을까? 국립중앙박물관 폼페이전을 다녀와서...기사 l20150104
- 최후의날,서기79년 8월 24일 오후 1시 베수비오스 화산이 폭발하여 폼페이는 아수라장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기원전 80년 부터 서기79년 까지 있었던 폼페이 문화를 알 수 있어 참 뿌듯했습니다. 여러분도 폼페이 문화 속으로 빠져 보면 어떨까요? ... ...
- 저는 2015년 부터 시작되는 코너 '섭섭박사를 이겨라'에 다녀 왔어요. 동아사이언스를 찾포스팅 l20141230
- 저는 2015년 부터 시작되는 코너 '섭섭박사를 이겨라'에 다녀 왔어요. 동아사이언스를 찾아가는 길 은 복잡하더라고요. 먼저, 7층 다빈치룸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어요 자신을 소개하는 자기소개를 하고, 사진도 많이 찍었죠. ... 대결은 끝이 났답니다~ 오늘 대결 너무 즐거웠어요. 구독한지 6개월도 채 되지 않은 저를 뽑아주신 것도 감사하고, ...
- 세종대왕 문해상이 무엇일까요?? 세종대왕 문해상에 대해서... ...기사 l20141209
- 한글창체정신을 세계에 알리고,문해에 기여한 개인,단체,기업을 장려하기 위해 대한민국정부의 지원으로 1989년에 제정되 1990년 부터 시상해 오고 있는 상이다.수상자에게는 상금과 상장을 수여합니다.그리고 시상식은 매년 9월 8일 세계 문해의 날에 열립니다. 그런데,왜 세종대왕 문해상이라는 이름이 붙었을까요??그 이유는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이 ...
- 해리포터를 읽고기사 l20141207
- 해리 포터 시리즈는 전 세계에서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팔린 책이다. 왜 그랬을까? 내 생각에는 , 아마도 조앤 롤링이 어릴 때부터 글을 쓰고 자랐기 때문일 거다. 그런 조앤 롤링이 쓴 책이어서 더 팔리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도서관 ... 보아야 하니 줄거리는 입도 떼지 않는게 좋겠다. 주인공:해리포터 ...
- 손탁호텔터와 정동 이화여고심슨기념관입니다포스팅 l20141123
- 손탁호텔터와 정동 이화여고심슨기념관입니다 ...
- 계이름과 피아노에 대하여 알아보자!!! 계이름과 피아노에 대하여 알아봅시다.기사 l20141118
- 기자단 김예림 기자입니다. 제가 오늘은 피아노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계이름과 피아노에 대해 잘 아시죠? 일단 계이름 부터 알려드릴게요. 계이름은 '라' 가 절대음입니다. 도,레,미,파,솔,라,시,도! 이렇게 있고요 영어는 c,d,e,f,g,a,b,c! 이렇게 있고 또! 우리나라 음도 있겠죠? 그래서 우리나라 음은 다,라,마,바,사,가,나, ...
- '궁'은 궁인데...너무 어려워요.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가 된 기자의 첫 단추 끼우기....기사 l20141111
- 주거용으로, 헌(軒)은 공무적 기능을 가진경우가 많음. 예)낙선재/집옥재/영춘헌/정관헌 등 *누(樓) : 원두막처럼 마루를 지면으로부터 높이 띄워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원활하도록 만든 건물로 휴식과 유희를 주목적으로 하는 건물. 예)경회루, 광한루, 용무루 등 *정(亭) : 흔히 정자이며, 휴식이나 연회공간으로 활용됨. 누(樓)와 사용의 목적은 ...
- 제 손가락입니다 (제 손가락은 태어낫을 대 부터 이렇게 생겻으며 일부로 이 모양을 만들려고탐사기록 l20141103
- 제 손가락입니다 (제 손가락은 태어낫을 대 부터 이렇게 생겻으며 일부로 이 모양을 만들려고 하시면 뼈가 휘거나 부러지는 사고를 당하실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
- 역사책을 읽다가 우리가 쓰는 말중에서 몽골어가 있다고해서 소개할까해요. 고려가 원나라의탐사기록 l20141102
- 역사책을 읽다가 우리가 쓰는 말중에서 몽골어가 있다고해서 소개할까해요. 고려가 원나라의 공주를 왕비로 맞으면서 간섭을 받게 되는데 그때 궁궐에서 몽골어를 쓰게 되었다고합니다. 아기, 아가씨, 마누라, 수라, 마마, 무수리 등이 있고 장사치,벼슬아치 처럼 ~치 를 쓰게되것도 그때 부터라네요.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