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하지 때의 300.08°부터 동지 때의 241.29°까지 변한다. 하지만 첨성대의 기단부(약 19° 편동)와 창문의 방향(약 16° 편동)이 정남에서 약간 치우쳐 있는 것과 계산으로 얻은, 첨성대에서 볼 때의 태양의 출몰 방위각을 연관시킬 수 있는 원리가 아직 발견되지 않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류(柳)자리가 ...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않다.과학 언론들이 감시자 역할에 소홀해지고 있다는 지적은 해외에서도 나온다. 2009년 6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자협회총회’에서는 과학적 신뢰성과 엄밀성을 떨어뜨리고 홍보 수단으로 전락한 과학 매체의 문제가 집중적으로 부각됐다.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는 당시 특별판 ...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모으고 기획해 KAIST와 대덕연구단지를 탐방해서 큰 감명을 받고 왔다고.“내신 성적이 1.9등급이라면 좋은 성적에 속해. KAIST에서 어떤 전공을 하고 싶니? 입학사정관제에서는 어떤 연구를 해서 세상에 어떤 사람으로 남고 싶은지에 대해 말할 수 있어야 돼.”“물리학 중에서도 유체역학을 배우고 ... ...
- 물! 너를 파헤쳐 보자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때문이다. 같은 부피(16.38cm3)일 때 표면적은 각각 사면체 46.5cm2, 육면체 38.7cm2, 팔면체 36.9cm2, 십이면체 34.2cm2, 구 31.2cm2이다. 이러한 표면장력은 분자 간 인력(분자들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클수록 커지는데, 물은 다른 분자에 비해 분자 간 인력이 큰 편이므로 표면장력이 강하다.물의 표면장력을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해도 채 센터장과 함께 원년 멤버인 홍길표 팀장과 그 바로 아래 세대인 김성진 연구원이 9학번이나 세대차가 난다. 국내에 박사 과정조차 없고 환경이 열악한 외딴 섬에서 연구를 해야 하는 환경도 젊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계속 이어나가게 하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같은 현상은 국내 ...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수 있는 약물도 있다. 1997년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식욕억제제인 리덕틸과 1999년 FDA의 승인을 받은 경구용 지방흡수억제제인 제니칼 등이다. 사람들이 가진 잘못된 비만 상식 중 하나가 이런 약물에는 내성이 있어서 초기에만 체중이 감소한다는 것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비만 ...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이 교수는 “빛이 침투할 수 있는 물체는 크기 0.1~100μm, 금속은 5~100nm(나노미터, 1nm=10-9m)까지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빛은 일반적으로 금속을 침투하지 못하지만 아주 얕은 깊이까지는 가능하다. 따라서 물체의 크기가 현저히 작다면 금속도 포획이 가능하다.LCD 화면을 보면서 마우스로 시료 ...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의 배수예요. 4, 8장 또는 5, 10장처럼 말이죠. 그런데 외떡잎식물의 꽃잎은 3의 배수로 3, 6, 9장이랍니다.어~, 그럼 3과 4의 최소공배수인 12장의 꽃잎을 가진 식물은 쌍떡잎식물일까요? 외떡잎식물일까요? 이럴 때는 꽃잎의수만으로 둘을 구별하지 못한답니다. 그 대신 잎맥의 모양이나 잎자루가 ... ...
-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각 줄기에 해당하는 횟수를 가로열인 ‘잎’ 자리에 나눠 써 봐요. 0~9회는 0번 줄기에, 10~19회는 십의 자리를 딴 1번 줄기에 쓰는 거죠. 그러면 이 반에는 윗몸일으키기를 40회 정도 한 학생이 가장 많다는 걸 한눈에 알 수 있어요. 평균이 그쯤이라는 것도 알 수 있죠. 또한 최댓값과 최솟값까지 쉽게 ...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B를 보세요.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 직선을 그어 미로와 만나는 점을 세어 보세요. 총 9번 만나지요? 이미로는 아무리 용을 써도, 아무리 뛰어난 수학자가 와도 도착점까지 갈 수 없습니다.정말인지 궁금하신 심사위원 분들은 미로 A와 B의 길을 찾아보세요.탈출할 수 있는 미로인지 없는 미로인지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