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잘 나타나지 않는 아주 안정된 뇌파인데 초능력자들이 초능력을 발휘하고 있을 때
측정
하여 보면 이 세타뇌파가 깨끗하게 나타나고 있어 초능력에 발휘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정신력으로 물체를 움직여얼마 전 우리나라의 초능력자인 경북의 영덕에 사는 김성한군을 상대로 초능력학회에서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법적으로 시장에서 팔 수 있는 순록의 고기는 1㎏당 6천 베크렐(becquerel, 1베크렐은 방사능
측정
의 단위로 1초에 한개의 핵이 붕괴되는 것을 말한다) 혹은 그 이하의 방사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스웨덴에서는 그 한계가 1천5백베크렐이다.체르노빌사고가 있은 지 8개월 후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있는 또다른 별의 무리들은 그 독특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무리속의 변광성들이 거리
측정
에 사용된 후에(20세기 초반에) 이제까지는 별의 무리들로부터 다른 무엇을 배울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다른 은하계도 마찬가지이겠으나 우리의 은하수엔 별들 상호간에 존재하는 인력의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알려주는 CAP라는 건강관련전자장치를 선보였다. 이 장치는 손가락에서 감지되는 맥박을
측정
해 정밀분석한 뒤 모니터상에 나타나게 한 것이다.또 일본 히다치연구소는 혼돈이론을 주가 예측에 활용해 보았는데 그 결과는 상상외로 정확했다고 한다. 지난 1주의 주가동향을 입력함으로써 그 주의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떼어내 테프론으로 코팅된 기구로 세포들을 분리했다. 이 샘플중 일부는 얼린 다음 자장
측정
을 했다. 그 결과, 자장과 강하게 반응하는 강자성 광물이 있다는 확실한 증거를 얻었다. 이 강자성 광물말고는 인간의 몸안에 있는 철분은 다 강자성체가 아니라고 한다.다른 샘플은 잘 분해해서 자석이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물론 수술받기 전에 여러가지 검사를 먼저 실시해야 한다. 수면
측정
기를 이용해 수술여부를 신중히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수술이 특별히 위험하지는 않지만 입천장을 너무 잘라내면 음식물이 코로 역류하거나 소리가 울려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UPPP라고 하는 수술은 ... ...
오존
측정
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견디는지, 진공과 저온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지, 열에는 어느 정도 견디는지를 철저히
측정
해야 한다. 항공우주연구소에서는 각종 해석장치를 고가로 들여와 이번뿐만 아니라 장기 개발 계획에 대비하고 있다.마지막으로 가장 어려운 분야는 전자기술이다.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면서 아주 짧은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m을 소거하고 정돈하면 M=g${R}^{2}$/G (5)와 같이 지구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실제로 식 (5)에
측정
값들인 R=6.3×${10}^{8}$cm와 G=6.67×${10}^{-8}$ CGS를 대입하면 지구 질량은 M=980x${(6.3×{10}^{8}}) ^{2}$÷6.67×${10}^{-8}$≒6×${10}^{27}$g이 된다. 케 ...
리우 민간환경단체 '92 지구포럼'현지 취재 "시민의 힘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인기였다. 일본의 한 단체는 3천군데에 환경모니터링을 조직해 질소산화물과 산성비등을
측정
, 환경오염을 감시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는데 어린이의 가방이나 주부의 장바구니에 간단한 장치를 달아 환경오염을 파악하는 모니터링만도 1만 2천여개 정도나 된다고 했다. 이번 행사에 일본인들은 민, ...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컴컴한 곳에서도 작동하는 기계식 시계의 발명이 앞당겨진 것이다.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로소 공간을 조직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됐다. 14세기에 시계가 등장한데 이어서 15세기에는 항해장비가 등장해 마침내 대항해시대의 막이 오르게 된다.그러나 부어스틴은 역사는 이처럼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