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유용성의 문제가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과학기술상의
발전
추이를 지켜보자는 의미에서다.유엔 복제 금지협약 난항복제아기 탄생을 계기로 많은 사람들은 인간복제를 금지할 국제협약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런데 국제협약을 추진하는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처음엔 진공관 라디오, 다음엔 트랜지스터 라디오를 조립했다고 한다. 전자공학의
발전
을 직접 머리와 손으로 느껴본 셈이다.학창시절 삼중당문고 4백권을 다 읽을 정도로 책을 좋아하는 안 사장이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으로 꼽은 것은 일본의 수학자 히로나카 헤이스케의 ‘학문의 즐거움’과 ... ...
③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영화 감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흐름을 살펴보면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CRT에서 PDP, LCD, 유기EL 등의 평면 형태로
발전
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기술추세가 최종적으로는 3D 디스플레이 기술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2D 기술이 3D 기술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증거를 크게 세가지로 나눠 설명하면 첫째, 초소형화 기술이다. 유기EL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연구는 현재에도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박 소장은 “불임을 치료하는 기술의
발전
상황을 고려하면 인간복제가 아니더라도 미래에는 불임문제를 정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난자만으로 수정란 만드는 처녀생식2001년 11월 미국의 생명공학회사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ACT)사는 인간의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계속 적용될까.하지만 깎아내기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현실적으로 35nm 이하로는
발전
하기 어렵다. 반도체 소자의 크기가 20-30nm 정도가 되면 양자현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나 기존의 회로 설계법칙이 적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제작비용도 엄청나게 증가해 상업화에 무리가 따른다.분자를 쌓아 만든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개체군 전체는 엄청나게 연약하게 변한다는 피할 수 없는 모순이 숨어 있다.생명과학의
발전
이 우리에게 전례 없이 어려운 문제를 던져주는 것은 사실이다. 인간의 존재 그 자체에 심각한 도전을 하기 때문이다. 일찍이 한번도 겪어보지 못했던 이 ‘멋진 신세계’에 걸맞는 새로운 윤리가 필요하다.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새롭게 소생하는 모습에서 치료와 소생의 이미지가 생겨난 것이다.실제로 뱀이 의학의
발전
을 이끌기도 했다. 17세기 영국의 의사 하비는 혈액은 심장에서 계속 생성된다는 갈레노스의 주장에 맞서 혈액은 온몸을 순환한다고 주장했다. 혈액이 인체에 아주 중요한 요소라는 점은 이미 고대부터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러던 와중 중학교 2학년에 올라갔다. 어느날 학교에 초청됐던 한 강사가 “국가
발전
을 위해 과학을 해야 한다”라고 했던 말이 그녀의 마음 속 깊이 파고들었다. 이때 주저없이 과학자의 길을 선택했다고 한다.하지만 이전까지 유 박사가 간직했던 꿈은 훌륭한 음악가가 되는 것이었다. 어릴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4백 이상의 난자와 50명 이상의 대리모가 필요하다고 예상하는 까닭이다. 체세포복제술의
발전
으로 인해 성공률이 점점 높아지고는 있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실패율이 높은 실험을 한다는 자체가 문제인 것이다.유산되지 않고 무사히 태어난다고 하더라도 복제된 개체는 심각한 위험에 직면한다.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만든 것에서 시작됐다. 이후 1983년 MIT가 캘리포니아공대에 협력을 제의하면서 LIGO로
발전
됐다. NSF의 예산이 테일러가 노벨상을 받을 무렵 확정된 것을 보면 중력파 존재에 대한 확신이 서자마자 예산이 확정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한편으로는 LIGO의 발음이 ‘lie-go’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일부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