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제"(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현상입니다. 때문에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선 배신을 어떻게 막느냐가 아주 중요한 문제죠. 배신을 제어하는 무언가가 없다면 누구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배신을 할 테니 말입니다.여기서 첫 번째 배신의 기술이 등장합니다.Rule 1. 집단의 크기와 처벌의 강도를 확인하라모든 사회는 배신에 대한 ...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얇은 등 근육 바로 안에는 흉강이 있죠. 칼로 관통 당하면 폐에 손상을 입어 호흡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공격을 당한 사람이 모를 수 없죠. 아슬아슬하게 폐를 공격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허리띠를 풀기 전까지 당사자가 모를 수는 없습니다. 유 교수는 ...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꾸고, 이것을 사람들이 다시 호흡하는 식의 순환이 이뤄진다. 하지만 그 전에 해결할 문제가 있다. 대기의 구성을 지구처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식물이 완전히 자라면 공기 중에 산소의 비중이 급증한다. 자칫 기지에 머무르는 사람들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그렇다고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여러 정리를 컴퓨터가 증명하게 하는 분야가 있다”며, “아직 사람의 손에 의해 증명된 문제를 시켜보는 단계에 지나지 않지만, 미래에는 사람처럼 새로운 것을 증명해내는 인공지능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엄상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컴퓨터가 사람이 한 증명을 보고 맞는지 틀린지를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시끄러운 카페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하시더라고요(웃음).‘어려운 문제를 풀었을 때의 쾌감’과 ‘수학이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서’ 중 교수님이 느끼는 수학의 매력은 어느 쪽인가요?수학이 어떤 곳에 도움이 되는지는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딱 한 번, 대학 ... ...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KAIST 수리과학과 학생이라고 해서 꼭 수학 전공 과목만 들을까? No!학생들은 물리, 화학, 생명공학 등 자연과학 과목들도 함께 공부한다. 이와 함께 꼭 수강해야 하는 것이 화학실 ... 11분 모래시계로 15분 뒤를 정확히 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문제 : 이현, 김현경(KAIST 수학문제연구회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문제에 접어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알파고의 단조로운 학습 구조가 문제라는 의견도 있다. 알파고는 오직 승리와 패배만을 고려해 자가학습을 했는데, 보상을 조금 더 세분화하면 후반의 떡수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집수에 따라 가산치를 주면 알파고가 더 많은 집 차이로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해명한다. 그러면서 관광객들에게 방사능 노출로 건강이 나빠져도 우크라이나 당국에 문제 제기를 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필수적으로 받는다.비슷한 현상이 가까운 일본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5년 전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에서도 사상 최악의 원전사고가 일어났다. 체르노빌과 같은 ‘레벨7’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못한 자연재해가 닥치더라도 위험하지 않습니다. 상용화까지는 극복해야 할 기술적 문제들이 많이 남아 있지만 난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궁극적으로는 인류가 수백만 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인공태양을 건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난류를 없앨 방법은? 초고온 플라스마의 난류를 없애는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캄보디아 최고의 수재들이 제대로 된 대학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프놈펜왕립대에 재직 중인 교수 중에 박사 학위를 가진 이들의 비율은 10%도 되지 않습니다. 교수들 대부분이 석사 학위뿐이라 수준이 한참 떨어집니다. 실험 시설은 전무하다시피 합니다.때문에 정현식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