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치하는 재생의학, 인간과 기계를 결합한 사이보그, 나아가 몸을 절개하지 않고도 혈관 내로 들어가 수술을 하는 나노로봇 등이 외과의 영역이 될 것이다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목표는 후진 양성이다. 통신 강국의 위상에 걸맞게 통신 전문가를 보란 듯이 키워내는 것이다. “학생들 잘 키우고 싶은 게 꿈입니다. 연구자로선 조금이라도 좋은 연구 잘하는 게 당연한 목표지만 후진을 양성하는 게 저에게는 훨씬 의미있는 일입니다. 그런 후학들에게 제가 항상 충고하는 것이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오래 일하는 게 중요한 거예요. 아무리 힘들어도 버텨야 해요. 그 힘든 시기를 이겨내면 자신도 성장하고, 시야도 많이 넓어져요. 한순간을 힘들다고 버티지 못하면 결국 물거품이 돼요.” 역시 33년동안 한우물을 판 과학수사의 대가다운 말이었다. 과학수사박물관 만들고 싶어 정 원장의 마지막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세상에 많은 경쟁자가 있다지만, 가장 두려워해야 할 것은 다른 누구도 아닌 어제의 내가 아니겠느냐”며 “매일 매일, 조금이라도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원하는 모습이 되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고 새벽 2시에 겨우 로봇을 다 조립했고, 시운전에도 성공했어요. 그런데 대통령 앞에 내 보이는 로봇이니 보안검사를 받아야 했습니다. 할 수 없이 호텔 방문을 두들겨 새벽 2시에 잠을 자고 있는 경호실 직원을 깨워서 검사를 받았었죠. 그러고 보니 새벽 6시. 행사 시작 시간인 9시까지 복도에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학술지인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논문이 소개되기도 했다. 금 원장은 지금도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수학자 중 한 명이지만, “세계적인 수학자가 되는 것은 평생의 꿈이고, 수학자는 평생 해야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고등과학원 원장을 맡고 있는 현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했다. 완성도 99.99999%가 아닌 100%를 위해 자신의 시간을 묵묵히 투자했다. 그 결과 다음을 내다보는 안목이 생겨났다. 유 본부장이 차세대 시스템을 개발하던 무렵, 그는 2008년 애플사가 선보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폰 뱅킹까지 준비하고 있었다. 인터넷 뱅킹 다음으로 스마트폰 뱅킹이 ... ...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바다 소용돌이 역시 순환하는 물의 경로에 의해 소용돌이 내부와 외부가 서로 차단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바다 소용돌이에서도 빛이 튕겨져 나가거나 빨려 들어가는 블랙홀과 같은 특정 장벽을 발견했다. 게다가 바다 소용돌이의 장벽을 만난 물은 소용돌이 주변으로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간 아이스크림 매출액과 생산량, 만드는 비용을 토대로 일할 사람이 몇 명 필요한지 알아내죠.한편 시나리오 기법은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이런 일이 일어나면 어떻게 될 것인지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해 예측하는 거예요. 보통 3∼4개의 가능한 미래를 가정하고, 각각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죠.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과학을 이용한다니 놀랍고 흥미로웠다.김선희 기자의 첨삭 포인트두 기자 모두 취재한 내용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잘 정리했어요. 김지원 기자는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적절히 안배했어요. 그런데 제목과 기사의 관련성이 약간 약한 것 같아서 아쉽네요. 최수혁 기자는 다양한 감정법 중 무게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