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돈’도 2주간 격리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코로나19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확진자와 접촉하는 등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은 자가 격리를 해야 해요. 지난 2월 24일 한국은행으로 들어온 지폐와 동전도 2주 동안 격리에 들어갔어요. 화폐는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이지요. 같은 달 17 ... ...
- [과학뉴스]인류 직립 보행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됐어요. 두 발로 걷기 위해서는 발이 체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해야 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발바닥의 움푹 들어간 부분, 그중에서도 발끝부터 뒤꿈치까지의 아치 모양이 발의 강성을 높인다고 추측했어요. 그런데 미국 예일대학교 마두수단 벤카데산 교수팀은 발끝과 뒤꿈치 사이의 아치 ... ...
- 내 이름은 오가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오가노이드계의 맏이, 장 오가노이드야. 줄기세포로 태어나서 장을 닮은 모습으로 자라는 중인데, 앞으로 내가 얼마나 더 멋지게 자랄지 너무 기대 돼! 여기 내 친구들, 뇌 오가노이드, 위 오가노이드,간 오가노이드와 함께 여러분을 오가노이드의 세계로 초대할게! ▼이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싶은 말이 있나요?늘 호기심을 갖고 여러분 주변을 둘러싼 세계를 궁금해하길 바라요. 과학은 이상한 일에 답을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니까요.또, 어린이라서 어른들과 달리 독특한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도 있어요. 그러니 여러분이 관심있는 분야를 찾고, 그 분야를 따라가 보세요 ... ...
- [시사과학] ② 유소년 축구에서 헤딩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발로 하는 스포츠 축구, 하지만 화려한 발재간과 함께 축구 팬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하나 더 있어요. 바로 헤딩슛! 수비수보다 높이 뛰어 내리찍는 헤딩슛이 골대 안으로 들어가면 경기장은 환호로 가득차지요. 그런데 축구가 처음 시작된 영국에서 유소년 축구 선수들에게 헤딩을 금지했다고 해 ... ...
- [이달의 과학사] 생명을 구하는 수혈법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1943년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전선. 미군 의무병이 다친 병사에게 유리 혈액 용기를 이용하여 수혈 중이다.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제공 인간의 몸에는 약 5L의 피가 흐르고 있어요. 이 중 40% 정도를 잃으면 목숨이 위험해지죠. 많은 피를 흘린 사람에게 다른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안보인다고 무시하지마! 공기의 힘을 보여주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오랜만에 섭섭박사님의 연구실에 들렀는데, 섭섭박사님이 멍하니 의자에 앉아 허공을 응시하고 있었어요. 무슨 고민이라도 있는 걸까 싶어 기자가 뭐하시는 건지 여쭸지요. 그러자…. “아아, 공기를 보고 있지….” “네? 공기요? 큭큭큭. 박사님, 그게 무슨 엉뚱한 말씀이세요?” “자네 지금 ... ...
- [기획] 퍼즐 대결 공정성 수학이 보장한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여러분 안녕하세요. 수학 게임 전문 캐스터 무리수입니다!체스, 바둑, 온라인 게임 등 지금까지 많은 전략 게임에서 인간 고수들이 인공지능에게 무릎을 꿇었죠. 복수 ... 마르코프 연쇄로 공정하게 섞자! ★ 도움김종락(서강대학교 수학과 교수), 서인석(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 ...
- [수학체험실] 정사각형 다섯 개가 만드는 마법 펜토미노 달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사랑을 받았다. 북한에서도 큰 인기를 누렸다고 한다. 테트리스는 1984년 당시 소련 과학아카데미의 컴퓨터 기술자였던 알렉세이 파지트노프가 개발했다. 파지트노프는 컴퓨터로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고자 여러 퍼즐 게임을 개발하던 중에, 어린 시절 즐겨 하던 펜토미노를 떠올렸다. 펜토미노를 ... ...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기술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 현대 암호 기술 발전을 위해 1977년 세 명의 컴퓨터 과학자 로널드 라이베스트, 아디 샤미르, 레오나르드 아델만은 RSA 암호를 개발한다. RSA 암호는 평문을 암호문으로 만드는 ‘암호화’와 암호문을 해독하는 ‘복호화’에 각각 다른 키를 사용하는 비대칭 암호다. RSA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