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없습니다. 죽은 또순이의 마음이라고 들려주는 말이 가슴에 아릴지언정, 말이 안 되는 건 안 되는 겁니다.애니멀 커뮤니케이터가 전하는 메시지 자체는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수단이 이렇게 엉터리라면 순수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이들이 전하는 동물의 마음이 정말 동물의 ...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결과가 나왔다. 둘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한다는 것이다.하지만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아침형이 유리했다. 저녁형은 우울증이나 알코올중독 같은 질환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았다. 낮 동안 햇빛을 적게 받고 밤에 빛(조명)을 많이 받으며, 생활이 불규칙해 생체시계와 환경 사이에 불균형이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것을 알게 되었다.특히 두 교수님은 박물관과 고궁을 둘러보면서, 우리나라 전통 공예나 건축물 속 패턴 역시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사르한기 교수님은 그 패턴을 연구해 볼 생각이라고 하셨다.최근 전세계에 한류열풍이 불고 있지만, 우리의 전통 문화는 잘 알려지지 않은 것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있다. 한국 로봇 우승할 수 있을까이번 대회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건 역시 휴보와 토르다. 오준호 KAIST 교수팀은 6월 1차 본선에서 달리기가 가능한 인간형 로봇 휴보2를 업그레이드 한 DRC 휴보를 선보였다. 오 교수는 DRC 휴보에 대해 “기존 모델과 비교하면 승용차와 탱크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7년 6개월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는 10여만 마리의 양식 대서양연어가 야생으로 탈출한 사건이 있었다. 2009년 노르웨이에서는 연어, 송어, 대구, 넙치 등 51여만 마리의 양식 어류가 탈출했다. 세계적으로 양식장에서 탈출한 어류는 약 200만 마리로 추산되고 있다. 만일 GM 연어가 탈출해 바다에 ... ...
- 좋아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얻는 비법?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함정’은 도처에 있다. 함정의 위치를 알고 싶다면 이 책을 펼쳐보자. 단, 장담하건대 읽고 알아도 똑같은 경우를 만나면 당신은 또 당할 것이다. 알아도 피할 수 없는 것, 그것도 사람 심리니까.경고 한 마디 더. 맨 위에 나온 ‘상대가 나를 좋아하게 하는 비법’에는 파우스트의 비루먹은 개가 한 ... ...
- 향 분자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사라질 것만 같은 아슬아슬한 모습도 거품소스가 가진 매력이에요. 거품이 사그라지는 건 공기방울 벽에 있는 액체가 흘러내리거나 증발하면서 거품이 터지기 때문이에요.하지만 걱정 마세요. 거품소스를 얹은 예쁜 요리를 보면 누구라도 거품이 사라지기 전에 이미 입 안에 넣었을 테니까요! ...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3가지입니다.합리적 사고란 암기하지 않고 논리로 해결하는 능력이고, 비판적 사고란 건전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발상을 하는 힘입니다. 마지막으로 창조적 사고는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닌 새로운 문제를 내는’ 과정에서 길러집니다. 즉, 스스로가 출제자 ... ...
- [퍼즐탐정 썰렁홈즈]식물나라 나무의사, 꼬따고 쁘리뽀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감사의 선물을 보냈다.“썰렁홈즈, 자네 덕분에 우리 식물나라 식물들이 모두 건강을 되찾았다네. 선물로 조그만 나무를 보냈네. 오늘 이 식목일이니 뜻을 잘 새기고 잘 키워 주길 바라네.”썰렁홈즈가 문을 열고 나가 보니 깜짝 놀랐다. 정말 조그만 나무 선물이었다. 오만가시선인장…. 이제 어떻게 ... ...
- 유해화학물질 누출 현장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경우 호흡을 통해 인체에 쉽게 들어가 피해를 끼친단다. 미국 국제방호협회(NFPA)는 건강 위험성, 화재위험성, 반응위험성, 특수위험성을 수치화한 코드도 만들었어. 숫자가 클수록 위험하다 고 볼 수 있지. 호흡기유해화학물질을 마시면 숨이 막히고 기침이 나온다. 호흡기 점막이 손상돼 타는 듯한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