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얹은 벌집 일부에서 딱딱한 부분이 나왔는데, 이 부분이 파라핀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양봉을 할 때 벌이 집을 잘 짓도록 ‘소초’라는 틀을 이용하는데, 소초는 보통 파라핀이나 꿀을 추출하고 남은 밀납으로 만든다. 경우에 따라서 벌집에 파라핀이 들어갈 수도 있고 이 벌집을 직접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파란색)이 겹쳐지게 된다. 그러면 두 개의 축을 구분할 수 없어 더 이상의 움직임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드론을 조종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짐벌락 현상’이라고 한다.공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원수 체계를 도입했다. 사원수는 움직임의 요소가 세 개의 ... ...
- 즐거움은 더하고 창의력은 곱하고 2014 온라인수학게임대회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미션을 수행하며 점점 수학, 과학이 재미있어지고 있어요! 혹시 아직도 누구나 체험 가능한 ‘밀크&시리얼 게임’을 모르고 있나요?자연 : 제가 설명할게요! 저는 특히 지난 번 우주여행을 잊을 수가 없어요. 승제와 함께 우주선을 타고 재미있게 우주 구경을 마치고 지구로 다시 돌아가려고 할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가지 기상 현상이 겹쳐서 만들어진 불행한 사건인 셈이다. 기상 쓰나미 역시 예측은 불가능하다. 기상 쓰나미를 만드는 국지성 저기압은 그날 날씨에 따라 갑자기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기상청의 감시체계도 예측이 아니라 먼 바다에서 저기압이 나타나면 진행 방향에 있는 해안에 경고를 ... ...
- “친부모가 3명이라고?” 영국, 세 부모 체외수정법 도입 추진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명의 엄마와 한 명의 아빠에게 유전정보를 물려 받는, 사실상 부모가 셋인 아기가 태어날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영국의 보건부 산하 인간생식배아관리국(HFEA)은 6월, 두 명의 어머니로부터 각각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제공 받는 새로운 체외수정법에 대한 검토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충돌하기 때문에, 전자-양전자 쌍은 물론이고 힉스 보존을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실험도 가능하다.최근 영국 임페리얼컬리지의 파이크 연구팀이 제안해 화제가 된 방법은 조금 더 순수하게 브라이트-휠러 과정만 관찰하기 위한 실험이다. 기가볼트 수준의 고에너지 전자 빔을 금박에 통과시켜서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1AB+BA=0, AC+CA=0, AD+DA=0,BC+CB=0, BD+DB=0, CD+DC=0그런데 이런 등식을 만족하는 수는 보통수로는 불가능하다. 바로 이런 등식을 성립하는 수 체계를 19세기 중반에 클리퍼드가 발견했고, 그 체계가 지금은 클리퍼드 대수라 불리고 있다. 클리퍼드가 발견한 이 수 체계는 전자 상태의 내부 스핀을 설명하는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환승역도 수십 개가 넘는다면 모든 환승역에서 승객들이 기다리지 않고 갈아타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역에서 최소의 시간만 기다리도록 운행표를 짜야 한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혼합 정수 선형 계획법’이라는 방법을 써서 주어진 문제를 일차 연립 부등식으로 나타냈다. 그 다음,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실시해 ‘피부 재생’이나 ‘세포 재생’이라는 말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그런 효과가 가능하다면 애당초 의약품이지 화장품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김승현 교수는 “줄기세포 치료는 향후 의·생명분야의 핵심으로 떠오를 텐데, 미리 유사 줄기세포 치료와 구분해야 한다”면서 “일반인들이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판으로 만든 배터리는 이런 열처리가 불가능했다. 그렇다고 고온열처리 없이 분말형태로 만들게 되면 충전 밀도가 매우 낮아진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문제도 해결했다.2012년 8월,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잘 휘면서도 충·방전을 1만 번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