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뉴스
"
장기
"(으)로 총 4,414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현미경을 이용하면 보다 쉽게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암세포의 약 80% 정도는 사람 피부나
장기
외피의 1~3mm 깊이에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기존 광학현미경으로는 조직 아래 수십 μm(마이크로미터)의 영상밖에 얻을 수 없어 세포 깊은 곳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생체 조직의 박편을 잘라내 관찰해야 ... ...
동물실험 대체할 바이오칩 개발 가능해졌다
2015.03.10
이용해 두께나 투과도를 조절한 맞춤형 투과막도 만들 수 있다. 김 교수는 “
장기
적으로 화장품 및 신약개발 과정에서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나노입자 필터나 센서, 촉매와 배터리 제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반도체 칩에 인간 심장세포 넣은 바이오칩 개발
2015.03.10
실제 심장처럼 반응했다. 연구진은 심장세포 바이오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인체
장기
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세포배양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힐리 교수는 “이 바이오칩이 궁극적으로 동물실험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평균 50억 달러(약 5조5500억 원)가 들어가는 ... ...
정신분열증에도 ‘사랑 호르몬’이 藥
2015.03.04
프레리들쥐에게 멜라노코르틴을 주입했다. 이 들쥐는 짝짓기를 한 암수가 부부가 돼
장기
적인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일부일처제 습성이 있다. 그 결과 멜라노코르틴이 주입된 들쥐는 짝짓기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른 성별의 들쥐와 마치 부부가 된 것처럼 유대관계를 유지했다. 멜라노코르틴이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오가는 길에 자주 만난다. 차우의 아내는 일이 많아 늘 귀가가 늦고 첸 부인의 남편은
장기
해외출장이 잦기 때문에 저녁을 국수로 때우는 것. 어느 날 차우는 첸 부인이 아내와 똑 같은 핸드백을 갖고 있는 걸 보고 첸 부인 역시 차우가 남편과 똑 같은 넥타이를 매고 있는 걸 눈치챈다. 결국 두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없다고 설명하던 걸 본 기억이 났다. 그렇다면 생쥐는 소장이 음의
장기
이고 대장이 양의
장기
란 말인가. 연구자들은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암 발생은 대부분 세포분열시 일어나는 임의의 돌연변이라는 ‘불운(bad luck)’의 결과라고 결론내렸다. 따라서 생활습관을 개선해 암을 예방하려는 노력도 ... ...
‘침묵의 암살자’ 난소암, 여성 위협
동아일보
l
2015.02.16
절반가량이 3, 4기가 돼서야 병원을 찾는다. 진단을 받을 때는 이미 암이 복막이나 다른
장기
로 전이돼 있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까다롭다. 말기로 갈수록 생존율은 급격히 떨어진다. 증상이 없기 때문에 평소 주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 이외엔 초기 발견이 힘들다. 난소암의 원인은 명확하게 ... ...
[HOT100]“생명과학이 미래” 쥐 사육장에서 30종의 쥐를 길러…
동아일보
l
2015.02.16
씨는 “실험에 적합한 쥐는 신약의 특징과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어떤
장기
가 없는 쥐가 필요한데 만약 쥐 사육장이 없다면 ‘최적의 쥐’를 구하기 힘들 것이다. 그런 면에서 우리들은 큰 혜택을 받고 있다”고 자랑했다. 최신 동물실험실(12개방)을 갖춘 생명과학부는 쥐 ... ...
필로폰 맞은 청소년 뇌가 어른보다 더 심각하게 망가진다
2015.02.16
류인균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석좌교수 - 동아일보DB 제공 류인균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석좌교수팀이 필로폰을 투약한 청소년의 뇌가 성인 ... 함유된 치료제를 처방 받으려는 경우가 많다”며 “당장 시험을 잘 볼 지는 몰라도
장기
적으로 복용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 ...
‘밸런테인데이’를 위한 과학적 팁 3
2015.02.13
매우 이상적인 관념”이라면서 “여행의 동반자처럼 서로를 대등한 관계로 인식해야
장기
적으로 더 좋은 관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랑으로 행복감을 느낄 때 혈중 '옥시토신' 호르몬이 증가한다. 옥시토신은 '사랑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호르몬이다. -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