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진공에너지인 우주상수.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은하 NGC1569. 기린자리 방향으로 1100만 광년 떨어져 있는이 은하에서 수백만 개의 별이 새로 태어나고 있다.안홍배 교수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천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부산대 과학교육학부 교수로 있으며, ...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조사선 근처로 돌고래 떼가 지나가는 경우를 종종 본다. 돌고래는 진동수가 30kHz~100kHz의 특이한 초음파를 내는데, 사람의 귀로는 들을 수 없지만 음향수신센서에서는 ‘틱틱틱’ 하는 소리가 난다.돌고래는 얼굴전면 이마부분의 딱딱한 뼈를 강하고 빠르게 진동시켜 초음파를 물속으로 쏜 뒤, 물체에 ...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에서 수심이 얕은 곳으로 몰려와 모래와 진흙 바닥에 알을 낳는다. 암컷 한 마리가 25만~100만 개의 알을 낳으며, 알은 바닷물에 떠다니다 9~28일이 지난 뒤에 부화한다. 부화한 새끼는 7cm 크기로 자랄 때까지 산란장 부근에 머물다가 여름이 되면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태어난 지 3~4년이 지나 몸길이가 ...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우승을 차지했다. 김 교수팀의 ‘용산표’ 클러스터 컴퓨터는 1메가플롭스(1초에 100만번 연산) 당 24.6센트밖에 안들었다.풍력발전기까지 만든 IPSAP현재 ‘입샙’은 개발된 뒤 8년째 계속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최근엔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이아몬드’라는 그래픽유저 인터페이스까지 ... ...
- [생물학]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 발견과학동아 l2009년 01호
- 기록을 1cm 이상 앞섰다.영국 자연사박물관의 대벌레 전문가 조지 베칼로니 박사는 “100년이 넘게 유지된 기록이 신종의 발견으로 깨졌다는 건 흔치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 거대 곤충의 생태는 아직 거의 알려지지 않았는데, 열대우림의 나무 윗부분에 사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신종 대벌레의 ... ...
- 아날로그 통신에 푹 빠진 21세기 ‘줄리엣’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영원한 연인 ‘로미오’(서강대 무선통신 동아리)와 함께 체육대회도 한다.시속 100km로 달리는 자동차에서 인터넷을 검색하는 디지털 통신 시대에 회원들이 아날로그 통신을 고집하는 이유는 뭘까. 아날로그 통신에는 아기자기한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회원들은 교신을 하다가 친해지면 직접 만나 ...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세포막 면적이 10×π×1=10·π(㎛2)인데 1㎛2당 10개의 Na+채널이 있으므로 세포막에는 100·π개의 Na+채널이 있다. 논제 1에서 1ms당 104개의 나트륨이온이 이동한다고 했으므로 유입되는 나트륨이온 수는 106·π개다. 이미 존재하는 나트륨이온에 대한 유입되는 나트륨이온 비율은 π×106/1.51× π×108 =6.62×10- ...
- 2012학년도 수능 어떻게 바뀌나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서울과학고에서 ‘10년 후 진로탐색캠프’를 연다. 대상은 중고등학생 선착순 각각 100명이며 10일 행사는 접수가 마감됐다. 참가자들은 유형별 학습법 진단검사, 적성검사, 진로모의고사, 성격검사 등을 통해 자신의 미래설계지도를 그려보는 시간을 갖는다. 문의 (02)501-8385, 8634 www.wisementor ...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자외선도 포함돼 있다. 자외선은 파장별로 자외선A(320~380nm), 자외선B(280~320nm), 자외선C(100~280nm)로 세분된다. 형광등 같이 자외선B가 없는 인공 빛은 쬐여봤자 비타민D를 만들 수 없다.자외선B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분자의 스테로이드 고리를 끊어 프리-비타민D3로 바꾸고 이 분자는 체온의 열기로 ...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과학동아 l2009년 01호
- FDA)은 복제소나 복제돼지를 먹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발표해 큰 파문을 일으켰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말까 하는 형질이 우수한 소가 태어나 정액을 확보했더라도 암컷 난자의 유전자와 섞이면 그만 못한 새끼가 나오기 마련인데 이제 그럴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 셈이다. 관계자들은 5~6년 내에 ... ...
이전407408409410411412413414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