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오래된 서고 - 아직 풀리지 않은 암호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미국연방수사국(FBI)은 ‘맥코믹 코드’를 풀기 위해 노력했으나 끝내 실패하고 2011년에 코드를 대중에게 공개했다.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암호의 종류와 해결 방법 모두 미궁에 빠져 있다. # 암호학 역사상 최고의 난제, 보이니치 필사본 20세기 혁명가로 활동했던 한 남자가 있다. 이 ... ...
- [한페이지 뉴스] 뿌리 유전자, 식충식물에선 잎에서 발현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반면, 파리지옥의 유전자는 2만1135개, 벌레먹이말은 2만5123개, 좀끈끈이주걱은 1만8111개로 일반 식물보다 적었다. 라이너 헤드리히 뷔르츠부르크대 분자식물생리학및생물물리학과 교수는 “식충식물의 유전자가 적은 것은 육식으로 진화하며 엄청난 유전자 손실을 겪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데 성공했다. 인공 눈은 100픽셀로 구성돼 현재로선 해상도가 매우 낮다. 논문의 제1저자인 구 레이레이 홍콩과기대 전자및컴퓨터공학과 박사는 “인공 눈에 부착한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실제 사람의 광수용체 밀도의 10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며 “인간의 눈보다 훨씬 나은 분해능을 가진 인공 ... ...
- 살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한 과학자들의 해설을 들어보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살은 무엇인가? Part1. 물리학자의 뱃살은 왜 늘어나는가?Part2.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인포그래픽] 유전자로 보는 지방세포의 운명Part3.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Part4.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바뀌어 배출되는 요소 회로에는 다량의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는 매일 1.5~2L의 물을 섭취하라고 권장한다.사실 화학적으로는 살이 찌고 빠지는 현상이 단순히 섭취한 열량이 과잉이냐 혹은 부족하냐에 따라 나타나는 인체 화학반응의 결과에 불과하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듯이 ... ...
- 미 NC와 NC 다이노스, 연결고리는 공룡?과학동아 l2020년 06호
- DNA가 화석으로 보존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국립과학리뷰(NSR)’ 1월 12일자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93/nsr/nwz206사실 노스캐롤라이나주를 상징하는 고생물 화석은 공룡이 아닌 메갈로돈(Otodus megalodon)입니다. 고대 상어의 한 종인 메갈로돈은 신생대 아이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미생물 수준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안윤주 건국대 환경보건과학과 교수팀은 1L당 5mg의 농도로 미세플라스틱을 넣은 물에 국내에 서식하는 물벼룩을 노출한 결과, 물벼룩 알의 83%가 부화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2017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 ...
-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월 23일 함께 생활하던 호랑이와 사자 등 7마리도 확진 판정을 받았다. 현지 언론은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 직원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염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바이러스의 확산과 변이에 우려를 표했다. 이 교수는 “동물과 인간이 접촉할 기회가 늘수록 미지의 병원체가 출연할 가능성은 ...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등 다른 분야에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스마트폰 카메라용 ND필터는 시중에서 1만~3만 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송을 기다리기 힘든 분들을 위해 과학동아는 우리 주변에서 ND필터로 쓸 수 있는 물건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그때 기자의 눈에 들어온 것은 과자봉지였습니다 ...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광합성 하는 광촉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을 도핑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광촉매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스 투데이’ 2020년 1월 3일자에 게재했다. doi: 10.1016/j.mattod.2019.11.005 새로 개발한 하이브리드 광촉매는 흡수된 빛의 34.8%를 촉매 변환에 사용해 기존 광촉매보다 광효율이 3배 높 ...
이전407408409410411412413414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