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필름통으로 만든 물온도계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실용화 될 수 없다. 우리가 만든 온도계는 1백70년 경 그리스의 의사인 갈렌이 만든 세계
최초
의 온도계와 같은 원리다. 그 온도계의 이름은 온도를 눈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의 'thermo-scopes'였다. 색소탄 물이 들어있는 용기에 긴 유리관을 담궜다. 관속에 있는 공기는 관 밖으로 뽑아냈는데, 이는 ... ...
Ⅲ 약주는 곰팡이: 페니실린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병원균이 자라나지 못하게 하는 어떤 물질을 만들어낸 것이라 생각했다. 세계
최초
로 항생제(다른 미생물이나 세포의 기능을 저해하는 물질) 페니실린을 찾아낸 순간이었다. 페니실린이란 말은 푸른곰팡이의 학명(Penicillium)을 딴 이름이다.페니실린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많은 부상병들의 목숨을 ... ...
비난으로 얼룩진 노벨상 수상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하버는 카이저 빌헬름 물리화학연구소 소장으로서 연구소의 화학자들을 동원해
최초
로 독가스 제조에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그가 개발하고 바스프(BASF)사를 통해 상업화시킨 암모니아 합성공정은 연합군의 해양 봉쇄로 칠레 초석의 수입이 여의치 않았던 상황에서 화약의 제조에 필수적인 질산을 ... ...
외계인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창조됐다. 까밀 플래마리온의 논픽션 '현실 세계와 상상의 세계'(1864)는 외계인의 개념을
최초
로 대중화시킨 저작으로 꼽힌다. J.H. 로스니의 '무한의 항해자들'(1925)에서는 인간과 외계인이 서로 사랑을 나눈다.이 작품에서 인간은 여섯개의 눈이 달리고 다리가 셋인 화성인과 연애한다. 프랑스 ... ...
77세의 글렌 우주비행 재도전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우주비행사를 선발했을 때 그 안에 끼였던 그는 1962년 2월 20일 머큐리 6호를 타고 미국인
최초
의 지구궤도 비행을 성공했다.물론 글렌 이전에 앨런 세파드 2세(1961년 5월 5일 머큐리 3호)와 버질 그리솜(1961년 7월 21일 머큐리 4호)이 우주비행에 나섰지만 준궤도비행에 그쳤다. 1964년 미항공우주국에서 ... ...
인간복제병원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90일 내에 만들겠다고 밝혔다. 하버드대 물리학 박사 출신인 시드는 1970년대
최초
의 시험관아기를 탄생시키는 팀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다. 묘하게도 그의 성 시드(Seed)는 '씨'라는 의미다. 시드는 2백만달러 정도의 비용과 전문가팀이 갖춰지면 18개월 내에 복제아기를 만들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다 ... ...
여의사 이명주씨의 남극 체험수기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눈구덩이에 묻는 일이다. 이 '아름다운' 전통도 젊은 여의사의 등장으로 깨져버렸다.
최초
의 여성대원으로 겪어야 했던 일은 사회에 진출하는 여성의 수가 늘어나면 저절로 해결될 것이다. 어쩔 수 없이 남성들은 여성을 동료의 자리에 앉혀야만 하기 때문이다. 인구가 약 4백만명 정도 되는 ... ...
상대성이론은 왜 노벨상 못받았나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심사위원회에서 아인슈타인에게 그의 1905년 브라운 운동 논문(분자가 실재로 존재한다는
최초
의 직접적 증명이었다) 등 통계역학에서의 업적으로 상을 주자는 논의도 있었다.하지만, 당시 스웨덴 학계에서 막강한 영항력을 지니고 있었던 아레니우스(1903년 노벨 화학상 수상)가 "아인슈타인이 그의 ... ...
3. 파라오의 저주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사람 1천5백여명 가운데 10년 이내에 사망한 사람은 21명에 불과하다. 파라오의 무덤을
최초
로 개봉한 당사자인 카터는 18년을 멀쩡하게 잘 살다가 66세의 나이로 자연사했다.1933년 독일의 고고학자 슈타인도르프는 그동안 신문이 발표된 21명의 죽음을 하나하나 뒤쫓았다. 그 결과 나이가 들어 ... ...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못했을 것이며, 세계에 자랑하는 기록문화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의 편찬이나 세계
최초
의 금속활자 인쇄술 역시 불가능했을지 모른다.우리 한민족이 나무나 숲을 어떻게 정서적으로 인식해 왔는지 알기란 쉽지 않다. 나무나 숲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남긴 문헌이나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