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성분도 들어 있어 영양학적 측면에서 논란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공치즈는 이 둘
사이
에 있다. 제조 과정에서 자연치즈의 숙성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이 자연치즈보다 적게 들어 있다. 하지만 섬유소나 비타민처럼 자연치즈에 부족한 영양분을 첨가할 수 있다.가격이냐 ... ...
날개 두 겹으로 초음속 뚫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950년대 독일의 공학자 아돌프 부스만이 먼저 떠올렸다. 그러나 이런 겹날개는 날개
사이
의 틈이 좁아서 초음속에 도달할 즈음 공기가 잘 통과하지 못하고 막혀 버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초음속에서는 훌륭하게 작동하지만, 초음속에 도달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이를 해결하기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발생하는 흑색종을 죽인다.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 내는 피부 세포인 멜라노
사이
트에 암이 생기는 병인데 이 효소가 암세포의 세포막 인지질을 파괴해 종양을 죽인다.또 서던 코퍼헤드로 불리는 미국텍사스살모사의 독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동물실험 결과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70%나 ... ...
Intro. WELCOME TO 데이터유니버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새로운 빅데이터 세계로 천지개벽이라도 한 것일까.세계는 데이터와 데이터 과학자
사이
의 오랜 싸움터다. 빅데이터 시대가 온 것은 이 싸움터가 모든 사람에게로 확대됐다는 뜻이다. 우리는 일상에서 데이터와 함께 산다. 우리가 데이터를 만드는지, 데이터 더미 속에 우리가 사는지 구분할 수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대표적인 분야가 게노믹스다. 미국의 바이오기업 일루미나의 스콧 칸 박사는 2011년 2월 ‘
사이
언스’ 기고문에서 “2007년에 이미 하루에 읽을 수 있는 유전자 염기서열 데이터량이 컴퓨터의 처리 속도는 물론 하드디스크의 저장 능력을 넘어섰다”고 밝히고 있다. 김태형 테라젠바이오연구소 유전체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도한 그란사소국립연구소는 성명을 통해 “오페라팀 연구에서 두 연구소 실험장치
사이
의 시간을 똑같이 맞추는(GPS 동기화) 과정에 문제가 있어 시간이 잘못 측정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소는 두 가지 원인을 제시했다. GPS 신호를 받아들이는 광케이블에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과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체
사이
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전달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도 음의 높낮이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합니다. 음의 높낮이는 공기층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아니라 단위 시간당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세포가 죽어가면서 이온통로에 문제가 생겨 물이 차고 피부의 각질과 표피, 표피와 진피
사이
에 수포가 생긴다. 세포가 죽고 나면 마치 딱지가 앉듯이 수포 자리가 까맣게 변한다. 세포가 죽지 않았다 하더라도 DNA에 손상을 입었기 때문에 피부암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불행히도 수포작용제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만들 수 있다. 라디오아스트론은 지구에서 최대 39만 km까지 멀어지므로 지구와 달
사이
의 거리만큼 큰 망원경과 같은 효과를 낸다.지난 23년 동안 우주망원경은 천문학자들의 귀중한 눈이었다. 중요한 성과도 많이 이뤄냈다. 여기에 맛 들인 천문학자들이 과연 지구의 망원경에 만족할 수 있을까. 201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없었습니다. 다행히 다음 결과는 다소 위안이 됐습니다. 자기객관화와 상대객관화
사이
에 연관성이 있다는 겁니다. 상대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정도가 심할수록 자기 역시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는 뜻이지요. 이런 경향은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여자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