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
, 상대성이론에 어긋날까 ?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말하는 것 자체가 틀렸다고 말한다.정보는 펄스로 전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정보는
빛
보다 빠를 수 있을까. 이에 따르면 물질을 지나면서 펄스가 새롭게 형성됐기 때문에 물질에 들어가기 전 펄스와는 다른 것이고, 따라서 정보는 손실됐다고 말한다.하지만 여기에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 ...
기자가 만난 우리의
빛
전문가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역부족이었다.그래서 서울대 물리학부 이재형, 안경원 교수를 찾아갔다. 이들은 느림보
빛
을 직접 연구하고 있지 않지만, 이 연구의 기초가 되는 EIT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때문에 함박사와 김교수로부터 들은 설명을 종합하고 전체를 바라보는데 많은 도움을 얻었다. 특히 이교수 연구실의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있다. 눈이 시릴 정도로 찬란하다.사실 푸른
빛
은 막 태어나는 별무리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
이다. 어찌된 일일까. 은하에는 차가운 수소가스가 거대한 구름을 이루고 있는데, 충돌이 벌어지는 동안 가열된 뜨거운 가스가 주변의 거대한 수소구름을 밀어붙였고 이 수소구름은 자체 중력으로 붕괴됐다. ... ...
최초 복제 광자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같은 유도방출은 레이저에서 이용돼 좁은 영역에 높은 밀도의
빛
을 쏘는 광증폭이 가능하다.라마스-리나레스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양자시스템을 복제하는 방법을 보여준 최초의 실험”이라고 설명했다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도플러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파장을 갖는 두
빛
으로 인해 생기는 도플러효과는 아직 해결되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파장이 동일한 두
빛
을 이용해야 한다.그래서 실온의 경우 실제로 한 레이저로부터 나오는
빛
을 쪼개서 실험한다. 그런데 어떻게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한다.센서가 상품진열대와 가장 가까운 곳(상품의 코드명 부착부위)을 지날 때만 내보낸
빛
이 다시 센서로 돌아오게 돼 있다. 이때의 2차원 위치 정보 x, y값을 얻는 것이다. 이 값은 자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래서 고객이 상품코드를 선택하면, 곧바로 로봇이 이미 저장된 위치 정보에 따라 ... ...
마를린 먼로의
빛
바랜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방법으로 이 푸른
빛
을 제거하려고 노력해 왔다.디지털 복원 비용 편당 13억원쿠란은 파란
빛
을 원래의 필름을 통해 새 흑백필름에 쏘였다. 그러면 원래 파란색을 띠었던 흐릿하게 바래진 부분은 더 어두워지거나 검어진다. 그런 후 흑백필름과 원래 필름을 함께 겹쳐서 새로운 영화필름을 만든다.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점상 촬영)는 촬영 시간의 제약을 많이 받기 때문에 주어진 노출시간에 가능한한 많은 별
빛
을 받아들이기 위해 조리개를 많이 여는 것이 좋다. 즉 f/1.4 렌즈면 1.4에, f/1.8 렌즈면 1.8에 맞춘다. 다만 조리개를 개방했을 경우 수차가 심해져 주변부에서 별의 상이 찌그러지는 단점이 있다. 셔터 스피드는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음파발광은 초음파를 용액에 쏘면 미세한 기포가 생겨나 점점 더 자라다가 결국
빛
을 내며 터지는 현상. 이번 논문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UCLA의 푸터맨 교수 역시 “워낙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이라 이제까지 기포의 온도가 어느 정도일지 알 수 없었지만 온도가 태양에 맞먹지 않을까 추정했다”고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접시를 포물선 모양으로 만들면 포물선의 초점 위치에서
빛
을 모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빛
을 많이 모으려면 접시의 크기가 커지면 된다.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사각형이나 원형의 안테나를 만들기는 쉽다. 하지만 포물면의 경우 그 모양을 정확하게 깎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 상당한 시간과 돈이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