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염기쌍만 골라 고치는 ‘미스매치 복구’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밝혀낸 과학자들은 201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복제 과정 핵심 단백질 기능 밝혀 DNA 복제 과정에는 수많은 단백질이 관여한다. 복제를 시작하려면 이중가닥으로 꼬여있는 DNA를 풀어야 하고, 각각의 가닥에 아데닌(A)에는 ...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필터는 IMU가 측정한 값을 이용해 바로 그다음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입니다. 1960년을 전후해 처음 개발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였던 ‘아폴로 프로그램’에도 적용된 알고리즘이죠. 지금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주식 예측 등 확률 기반으로 현재 또는 다음 상태를 ...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틀을 벗어나면 새로운 게 보여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술 창업을 꿈꾸는 청소년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Think outside the box!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생각을 해보세요. 창의력을 조금만 발휘하면 굉장히 좋은 답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 ...
- [미국유학일기] 모두가 악동이 되는 날, 디치 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만들어 주는 부스를 운영한 것이다. 반응은 굉장히 뜨거웠다.캘리포니아공대 학생들은 매년 새롭고, 다양한 활동을 시도한다.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으면 학교의 전통이 되지만, 그게 아니면 일회성 행사로 이듬해 추억 속으로 사라진다. 이런 모습은 자칫 시간과 에너지만 많이 드는 쓸데없는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틀림에서 비롯되는 두려움 때문에 과학적 상상력, 과학적 시도는 점차 문이 닫힌다.2019년 정부의 국가연구개발(R&D) 사업 예산이 처음으로 20조 원을 넘었다. 그런데 정부의 예산을 받아 진행된 매해 5만 개 이상의 R&D 과제의 성공률이 95%를 웃돈다. 거의 모든 연구가 목표한 바를 이룬 셈이다. 국내 ... ...
- [퍼즐라이프] 채우는 재미가 쏠쏠! 카지노 퍼즐수학동아 l2020년 05호
- * 국제 퍼즐 파티전세계 퍼즐 수집가, 퍼즐 작가, 퍼즐 판매 업체 등이 매년 한자리에 모여 퍼즐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 만든 퍼즐을 홍보하며 교환하는 퍼즐 축제 ... ...
- 범인 ‘탄소’를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적용하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세금만으론 배출 총량을 줄이는 데 어려움이 있어 2005년부터 배출권 거래제를 차츰 도입했지요. 그렇다고 배출권 제도가 탄소세보다 무조건 더 낫다고 하긴 어려워요. 주식처럼 사고파는 배출권은 가격 변화가 매우 크지만, 일정한 세금을 매기는 탄소세는 가격이 ... ...
- [이달의 과학사] 다이빙 헬멧에서 아쿠아렁으로, 잠수복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물에 맞서 체온을 유지해야 하고, 깊어질수록 강해지는 수압을 버텨야 하거든요.1820년대, 영국의 발명가 딘 형제는 유리창이 달린 구리 헬멧에 긴 가죽 호스로 공기를 공급하는 다이빙 헬멧을 만들었어요. 이 헬멧을 쓰고 영국 해군의 침몰선을 성공적으로 인양합니다. 후디니는 이 다이빙 헬멧을 ... ...
- [매스크래프트] #5. 퓨처랜드 놀이공원, 줄 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 편집자 주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다양한 인디게임까지 섭렵한 게임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처음 이다. 회사에서 게임하는 게 조금 눈치 보이지만 마크 초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화 통신에서 시작한 ... ...
- [진로체험] 지윤성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로 세상을 읽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정보통신 기술로 분석하는 분야를 생물정보학(바이오인포매틱스)이라고 합니다. 2009년부터 뜨기 시작했는데, 이 분야에 사용하는 모형을 이용해 예측했습니다. 특히 미국과 영국 연구진이 각각 만든 두 종류의 모형을 사용했는데요, 각 모형의 특성에 따라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값을 골라 데이터를 ... ...
이전407408409410411412413414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