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똑똑한 나선형 잎차례식물의 잎은 성장에 필요한 햇빛과 물 등을 얻기에 가장 좋은 곳에 생긴다. 잎이 난 자리 바로 위에 입이 나면 아래 잎은 성장에 필요한 요소를 충분히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 식물의 잎은 줄기를 따라 나선형으로 생긴다. 이렇게 잎이 나는 방식을 ‘나선형 ...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화장실에서도 줄을 서고, 은행이나 슈퍼마켓은 물론 기차역이나 공항과 같이 줄을 서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큐잉이론이 쓰입니다. 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정보의 이동과 물류까지 큐잉이론은 각종 산업 경영 분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이론이랍니다."이제는 노하우가 아닌 노웨어의 시대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유럽의 핀란드 등 2곳,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에 있는 데이터센터 중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있는 데이터센터를 거친 결과다.구글은 검색결과 순위산정 알고리듬을 매년 500회 이상 개선하고 있다. 2011년에만 500회, 2012년에 665회 개선했다. 전세계 다양한 사람들을 고용해 같은 검색어에 2개의 다른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요즘 미국에서는 몇 년째 흰코증후군(WNS)라는 박쥐 병이 대유행입니다. 호냉성(찬 곳을 좋아하는 성질) 곰팡이균에 감염돼 걸리는데, 코에 하얗게 곰팡이가 피고 체온이 올라가는 게 주요 증세입니다. 말씀 드렸듯 겨울잠을 자는 당신은 체온이 일정해야 몸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먹을 것도 ...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실릴 우주탐사 장비는 아직 미정이다. 현재 국내 여러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여러 곳에서 개발하고 있다. 소형 탐사장비를 각 연구팀이 개발해 오면, 이 중 완성도와 과학적 가치가 높은 것을 몇 종류 골라 탐사선과 착륙선에 싣는다.기본 설계에 따르면 궤도선은 높이 1.5m, 너비 1.6m 정도로 ... ...
- 문명 업은 인류, 등골이 휘었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두뇌 혼자 소모할 정도니, 말 다했지요.이제 인간의 심장은 가장 많은 피를 가장 높은 곳까지, 중력의 방향을 거슬러가며 쉴 새 없이 올려 보내게 됐습니다. 인간의 심장은 영원히 이길 수 없는 싸움을 하는 그리스 신화의 시지푸스와도 같습니다. 끝도 없이 피를 몸의 꼭대기로 퍼올렸습니다. 언제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바로 절대영도(0K, 영하 273℃)에 도전하는 과학 실험실! 마침내 우주에서 가장 추운 곳을 찾았다는 기쁨에 펑펑 울던 변 기자는 ‘그동안 내가 뭐한 거지?’ 하는 억울한 마음에 또 펑펑 울어버렸다.절대영도에 도전!자유롭게 흐르는 물보다 딱딱한 얼음이 더 차가운 것처럼, 원자는 움직이지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조사를 더 해 보니, 미첼 부자는 이 클라드니 도형을 악보로 만들어 2007년 5월 18일에 이곳에서 ‘로슬린 모테트’라는 이름으로 직접 연주를 했다고 한다. 역시 베타가 말한 음악은 이거였어! 이제 거리의 악사에게 연주를 부탁하면 사건 해결이다!한 걸음 더 클라드니 연구를 잇는 한스 제니스위스의 ...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사용법을 알려 드릴게요. 폴리스님, 이쪽으로….”그때 데카르트가 말했다.“난 이곳에 남겠네.”“네에!? 하지만 그렇게 하면 데카르트 님이 사는 시공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 아니에요?”“피타피타!”피타가 시공간 정보 사전을 손에 들고 있었다. 거기에는 데카르트의 정보가 적혀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맞춰 빠른 속도로 통계도 발전할 거예요. 만약 과학자나 수학자가 꿈이라면 다양한 곳에 통계를 적용해 보세요. 머지않아 제 2의 나이팅게일이나 존 스노우, 프랜시스 골턴, 가우스가 될 수 있을 거예요 ... ...
이전407408409410411412413414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