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유적을 바탕으로 다양한 역사, 문화 체험도 함께 한다. 이번 하계체험학습은 ‘어린이
과학
동아’ 명예기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특별하게 준비됐다.1 첫 번째 검증! 원자력은 대체 어떤 힘이지?대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모인 명예기자들의 눈이 반짝반짝 빛나고 있어. 그 열기에 내가 막 압도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각각 실외에서 햇빛을 쬔 시간이 많을수록 근시가 덜 발생한다고 했지요. 연구를 진행한
과학
자들은 햇빛을 받을 때 눈에서 안구 길이를 조절하는 물질이 나와서 근시를 예방할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특집 한 걸음 더 시력 지키는 여섯 가지 방법아직까지 근시를 치료할 수 있는 완벽한 ... ...
지사탐 대장님이 상 받으셨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무척 기쁘고 즐거운 소식이 날아왔어요. 지사탐 대장님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
과학
부 장이권 교수님이 ‘여천생태학상’을 수상했답니다.여천생태학상은 기초생태학 분야에서 연구 업적이 뛰어난 차세대 생태학자를 표창하기 위한 상이에요. 2005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인 여천 김준호 박사가 ... ...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이야기를 담았으니 꼼꼼히 읽어 줄 거지?가자! 지구의 보물 뉴칼레도니아로!‘어린이
과학
동아’ 생태탐사대는 8월 12일 오전 7시 30분 인천국제공항에 모였어.우리가 향한 곳은 바로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에서 북동쪽으로 1700㎞ 떨어져 있는 서울 면적의 30배 정도 크기의 섬이란다. 옛날 호주와 ... ...
가짜 기억을 만들 수 있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거지. 이제 내 꿈인 브레인 컨트롤 칩을 만드는 날도 머지않았군! 크하하하하!역시
과학
기술은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무척 중요하군요. 악당 아누비스가 이영도박사 뇌에 가짜 기억을 넣어 조종한 거라니…, 신기하면서도 무섭네요. 코봇과 친구들을 끈질기게 괴롭히는 악당 아누비스의 과거 이야기,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얼음소방관들은 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를 섞은 물질로 불을 끈다. 그런데 일본
과학
자들이 물 대신 얼음을 이산화탄소와 섞어 불을 더 빨리 끄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들은 물 분자를 이산화탄소와 함께 얼려 이산화탄소 하이드레이트를 만들었다. 이 물질을 잘게 부셔서 뿌렸더니 불이 더 ... ...
이 쇠고기의 원산지는 ‘실험실’입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느낄 수도 있지요. 영국 식품안전청도 식품의 안전성과 영양이 일반 고기와 비슷하다는
과학
적 증거가 있어야 줄기세포 인공 고기 판매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답니다. 줄기세포 고기가 식량 부족을 해결할 돌파구가 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이네요 ... ...
쉬운 일 어렵게 하는
과학
장치 골드버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연습이기도 해.그래도 말이야, 이렇게 만들고 보니 재미있지 않니?
과학
원리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고. 이런 엉뚱한 장치를 상상한 골드버그 아저씨도 한 가지 모르고 지나쳤던 게 있는 것 같아. 복잡하고 비생산적인 작업을 하는 게 사실 재미있다는 점 말이야! 섭섭박사한테 ... ...
‘지지리 마란드러’ 여름방학숙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장 박사입니다. 먼저 수원청개구리부터 찾아볼까요?”지구사랑탐사대는 ‘어린이
과학
동아’ 시민생태탐사대로, 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 분포조사로 서식 특성을 밝혀낸 것으로 유명하다. 지지리 마란드러는 먼저 수원청개구리의 노랫소리를 알아보기로 했다.미션3 꿀벌 미로를 탈출하라!“두 ... ...
지구사랑탐사대 두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나와 매미가 되기 전, 굼벵이 시기에도 허물을 여러 번 벗지요.이화여자대학교 에코
과학
부 장이권 교수님과 함께 매미 탐사를 나왔던 친구들은 기대하지 않았던 광경을 목격하고 큰 감동을 받았어요. 휴대전화로 사진과 동영상을 찍으면서 열심히 관찰했답니다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