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25건 검색되었습니다.
[3·1운동 100주년]"읽고, 깨어나시오" 암울한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
과학동아
l
2019.02.28
이후 1969년 닐 암스트롱 등을 태운 미국의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면서 인류는
최초
로 달에 발을 디디는 데 성공했다. 2018년 9월 17일에는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달에 민간인 관광객을 보내겠다고 발표했다. 행운의 첫 번째 관광객은 일본의 ... ...
소리 지르는 엄마가 아이 뇌 구조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8
박사는 "아기가 어른의 말뜻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전부터 이미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최초
로 밝힌 연구결과"라며 "엄마와 아기 사이에 심리적인 유대감이 있어 아기가 감정적인 목소리에 더욱 크게 반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러 번 반복할수록 뇌의 신경회로가 발달한다"면서 "어릴 ... ...
中, 유전자편집 관련 생명공학 법안 초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지난해 11월 26일 유투브와 미국 과학매체 'MIT 테크놀로지리뷰'를 통해 세계
최초
로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유전자를 교정한 인간 아기가 태어났다고 발표하면서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당시 허젠쿠이 교수 연구팀은 불임 치료 중인 부모 일곱 명으로부터 배아를 얻어 유전자 교정을 했고 그 중 한 ... ...
미세먼지 줄이는 ‘탈질 폐촉매 재활용' 설비 착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이 시삽식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탈질 폐촉매 활용 기술의 세계
최초
상용화를 위한 연 3000톤 규모의 재활용 설비가 구축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27일 탈질 폐촉매 재활용 기술 상용화 참여기업인 한내포티와 함께 충남 당진 석문국가산업단지에 8500평방미터 규모의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받고 듀폰연구소에서 프레온가스 개발에 참여해 공동개발자로 명성을 얻었다.
최초
의 엔지니어로 부를만한 오하이오주립대 출신의 이병두(세라믹공학)는 인공 치아 연구로 여러 특허를 취득해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 (왼쪽부터) 조선인 과학자 우장춘, 김삼순, 이원철, 박달조 ... ...
만성골수성백혈병 재발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수 있는 셈이다. Leukemia 제공. 김종원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팀이 세계
최초
로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재발 가능성을 정밀하게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를 찾아, 연구 결과를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루케미아(Leukemia)’에 발표했다. 보다 안전하게 약물 복용을 중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 ...
전기 없이 화학반응만으로 도금하는 3D프린팅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25일 밝혔다. KERI는 2015년 전기도금법의 원리를 활용한 금속 3D프린팅 기술을 세계
최초
로 개발했다. 금속 소재를 녹여 프린팅하던 기존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이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기존 전기도금법 기반 3D프린팅 장점인 간단한 공정과 함께 보다 저렴하고 빠르며 넓은 ... ...
[의학게시판] 국내
최초
'유방재건의 날' 행사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 고려대 안암병원이 국내
최초
로 '유방재건의 날(Breast Reconstruction Awareness day) 행사'를 개최한다. 2월 27일 오후 2시에 고려대 의대 윤병주홀에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는 유방암 수술 후 유방재건을 통해 새 삶을 얻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고 재건 후 관리법을 비롯해 다양한 정보와 교류를 ... ...
물질 바깥만 전류 흐르는 '위상부도체' 실험으로 구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제공 국내 연구팀이 부도체지만 전기가 흐르는 위상부도체를 실험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최초
로 규명했다.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서만 구분할 수 있었던 위상부도체를 실험으로도 구분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새로운 전자장치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박노성 UNIST 자연과학부 교수 ... ...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핵심소재 ‘이온전달막’ 상용화 눈앞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이전했다. 스탠다드에너지사는 모듈형 바나듐 레독스흐름 배터리를 세계
최초
로 개발했고, 이번에 화학연의 이온전달막을 적용해 신제품을 구상 중이다. 현재 3~4달에 걸쳐 5000회이상의 실험을 통해 수명 시험 등 기초 성능 확인을 완료했고, 안정성과 효율도 확인했다. 화학연은 안전성과 공정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